목차
감사의 글
서론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아티스트로서 보기│챕터들
제1장 미적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 영화의 전통과 이론
미적 스토리텔링│철학적인 미학 및 비평│뮤지컬 고래와 배고픈 공룡│애니메이션 역사: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경험과 이론│비판적 미학적 관심
제2장 디지털 상품의 기괴한 완전성(〈토이 스토리〉)
상업적 권위 및 상품 완전성│브랜드 구축: 관계, 가치, 추상화
제3장 기술적인 숭고함에서 포스트모던 숭고함까지(〈몬스터 주식회사〉)
몬스터 VS 인간: “우리 자신의 두려움이 우리를 두려워한다!”│기술적·디지털적 숭고함: 연속성과 프레임│포스트모던 숭고함: 대인 관계, 알 수 없고, 확정할 수 없는 것들
제4장 환상적인 것과 평범한 것의 특별한 변증법(〈인크레더블〉)
가족 공간│메갈로티믹 모드(Megalothymic mode)│신드롬과 엘라스티걸
제5장 혼란을 일으키는 감각과 새로운 것의 정치학(〈라따뚜이〉)
누구나 할 수 있는 요리와 감각의 정치학│새로운 것의 발견과 방어, 또는 “새로운 것은 친구가 필요하다”│변화는 자연스러운 것
결론
참고 문헌│찾아보기│옮긴이의 말│추천의 글 _ 이용배(애니메이션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