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나는 반려견 훈련사입니다 ㆍ 4
1장‘훈련사’라는 이름의 무게
동물이 전부였던 아이, 내가 훈련사가 된 이유 ㆍ 14
좋아함과 미안함 사이, 독일로 향한 결심 ㆍ 17
진짜 개들과의 만남으로 훈련의 본질을 배우다 ㆍ 21
내 인생 첫 시험 ㆍ 25
좋은 훈련사의 자격보다 중요한 것들 ㆍ 29
내가 만난 개들, 내가 배운 철학 ㆍ 32
2장 반려견을 이해하는 심리학의 원리들
개의 본능 이해하기 ㆍ 38
개는 어떻게 생각할까? ㆍ 42
같은 견종, 다른 성격의 반려견들 ㆍ 46
카밍 시그널, 개의 언어를 배우다 ㆍ 51
개는 어떻게 배울까?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 ㆍ 60
따라 하며 배우는 친구들 보호자 유형과 모방 학습 ㆍ 63
어려운 교육도 하나씩 끊으면 쉬워진다 자기 효능감과 조형 ㆍ 70
행동 수정의 3가지 방법 홍수법, 탈감작, 역조건화 ㆍ 76
익숙했던 행동이 사라지는 이유 소거와 강화 스케줄 ㆍ 81
3장 반려견을 사랑한다면 이것만은 알고 있자
반려견과의 약속 ㆍ 92
하루아침에 되지 않아요 ㆍ 98
훈련마다 방법도 다릅니다 ㆍ 103
반려견에게 가장 먼저 알려줘야 할 것들 ㆍ 108
사랑만으로는 부족해요 ㆍ 117
일관성 있는 생활이 곧 최고의 훈련 ㆍ 122
4장 반려견보다 먼저 바뀌어야 할 존재는 ‘보호자’
바꾸고 싶다면 먼저 나부터 바뀌어야 합니다 ㆍ 126
훈련은 훈련사만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ㆍ 130
훈련 실패의 90%, 사실은 보호자의 책임입니다 ㆍ 134
꾸짖지 말고 설명하세요 ㆍ 137
불안, 좌절, 기대, 그리고 조용한 희망까지 ㆍ 141
‘문제행동’이 문제가 아닙니다 ㆍ 147
5장 반려견과 함께하는 하루, 지금부터 시작해요
산책이 즐거워지는 ‘옆으로 따라 걷기’ 교육 ㆍ 152
부르면 달려오는 아이로, ‘이리 와’ 교육 ㆍ 157
참을성과 안정감을 만들어가는 ‘기다려’ 교육 ㆍ 160
화장실 실수 없는 ‘배변 교육’ ㆍ 165
어울려 살아가는 힘, ‘사회화 교육’ ㆍ 169
차 타는 걸 무서워하는 아이의 ‘이동 교육’ ㆍ 173
6장 문제행동 교정 반려견의 행동을 바꾸는 방법
너무 짖어요 ‘헛짖음’ 교정하기 ㆍ 180
사람을 물어요 ‘공격성’ 교정하기 ㆍ 185
입으로 표현하는 스트레스 ‘물어뜯기’ 교정하기 ㆍ 190
혼자 있지 못해요 ‘분리불안’ 교정하기 ㆍ 195
‘내 거야!’가 지나칠 때 ‘과도한 소유욕’ 교정ㆍ 199
밥을 안 먹어요 ‘편식과 식습관’ 교정하기 ㆍ 203
미용, 목욕, 발톱 자르기마다 전쟁이에요 ‘터치 민감성’ 교정하기 ㆍ 207
7장 반려견과 함께 걷는 길
훈련사는 어떻게 길러지는가? ㆍ 212
훈련사 창업의 현실 ㆍ 216
훈련사도 결국 사람을 만나는 일 ㆍ 219
한국의 반려견 문화, 이대로 괜찮을까? ㆍ 222
에필로그 반려견을 키운다는 건, 책임을 키우는 일입니다 ㆍ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