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1. 외로움은 어떻게 함정이 되는가
01 외로움의 정체
마냥 불안하고 고통스러운 정서?
외로움은 문화에 영향을 받는다?
외로움은 왜 존재하게 되었나?
왜 우리는 외로움에 주목해야 하는가?
외로움은 마음의 병일 뿐일까?
02 함정의 속성과 사건
외로움도 선을 넘으면 함정이 기다린다
함정까지의 길에는 단계가 있다
함정으로 더 깊이 밀어 넣는 사건들
부정적 상황과 인식의 지속적 유지
03 외로움의 함정 단계별 특징
1st Phase : 일상적 단계
2nd Phase : 심화적 단계
3rd Phase : 고립적 단계
04 외로움의 요인
1) 상황 : 가장 근본적 조건이자 요인
2) 상황 인식 : 상황을 외로움으로 판단하는 인식
3) 자기 인식 : 자신이 누구인지를 규정하는 인식
4) 개인 기질과 특성 : 태생적이거나 바꾸기 어려운 요인
PART 2. 사회구조적으로 고립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01 사회적 고립의 발생 배경은 무엇인가
전통적인 공동체의 붕괴
가족이라는 환상
경쟁 격화로 인한 사회적 배제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부터의 소외
AI 시대의 도래와 인간관계
02 사회적 고립의 실상은 어떠한가
고립이 초래하는 심리적 위기들
고립과 일상생활의 붕괴
외로움의 마지막 함정인 자기방임
03 고립은 왜 문제인가?
외로움은 만병의 근원
중독에 빠지다
사기 피해의 대상이 되다
PART 3. 우리 사회에서 고립은 어떤 모습을 하고 있나
01 혼자가 기반이 되는 사회의 도래
비사교적인 시대
우리나라의 사회적 고립은 어느 정도일까
02 사회적 약자로 전락해 버린 청년들
왜 고립·은둔에 빠지는가
청년 고립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자립을 위한 청년기의 과업
03 사회 변화의 직격탄을 맞은 중년층
중년층의 위기
중년층의 정서적 고립
04 오래 사는 것이 리스크가 된 노년층
초고령사회가 된 대한민국
노인과 사회적 관계망
AI 시대의 노인의 고립
PART 4. 고립에 사회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01 고립은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02 생활을 지원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03 지원 거부에 대한 이해와 대응
왜 지원을 거부하는 것일까?
지원 거부의 유형
지원 거부자에 대한 정보 파악
지원 거부자에 대한 대응
04 사회적 연결 만들기
사회적 처방
영국과 일본의 사회적 처방 사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PART 5. 고립에 빠지지 않기 위해 개인은 어떻게 해야 하나
01 관계의 밀도, 행복의 유일한 지표
02 새로운 세상과 관계 맺기
03 외로울 수 있는 능력
04 건강한 방식으로 퇴행하기
이 글을 마치면서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