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나’는 어디에 있는가
우주에서 바라본 ‘나’
‘나’라는 수수께끼
존재에 대한 질문
불교의 세계관
생각대로 되는 일은 없다
‘공空’의 개념
제2장 《반야심경》의 세계
《반야심경》의 성립
노래하듯 스며드는 경전
자유와 부자유
《반야심경》을 읽다
260자의 기도
제3장 현대 우주론으로 본 《반야심경》
밤은 왜 존재하는가
빛에서 태어나는 것
물질의 생성과 ‘진동’
구체적이지도 않고 추상적이지도 않은
타고르(T)와 아인슈타인(E)의 대화에서
바람에서 태어난 우주
우주의 공정함 속에서
아름다움의 본질
현실과 인식의 경계에서
‘환영’ 속의 현실
《반야심경》의 진수
제4장 인생과 우주 시간
우주 달력
삶이라는 장대한 체험
1ㆍ2ㆍ3의 숫자 감각
뇌는 소리로 깨어났다
종교의 기원
인류의 시작
남녀라는 개성
사랑하고, 믿고, 기다리기
자신의 얼굴
적령기는 존재하는가
시간의 신비
‘이제 와서’를 ‘이제부터’로
제5장 인생의 목적지
플라네타륨
별을 바라보는 삶
사람은 왜 여행을 떠나는가
일본 문화에 숨겨진 √2
사람과 사람의 관계
미래를 바꿀 자유
언어가 지닌 신비한 이중성
달이 없었다면 존재하지 않았을 것들
365일과 108번뇌
예수의 탄생
1인칭의 죽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평화를 위한 지침서
마치며
부록
한문본 《반야심경》
우리말 《반야심경》
영문본 《반야심경》
산스크리트본 《반야심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