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장 동서양의 ‘뜻밖의 만남’, 모차르트의 〈궁전탈출〉(1782) / 우혜언
1. 오페라 〈궁전탈출〉
2. ‘튀르크리’에 빠져든 유럽
3. 차별화된 오스민(Osmin)
4. ‘노래하지 않는’ 셀림의 관용 그리고 화해와 경의의 보드빌
맺음말
제2장 선악의 해체적 사유, 모차르트의 〈마술피리〉(1791) / 이혜진
1. 〈마술피리〉에 내재된 ‘계층-젠더-인종’ 이데올로기
2. 오페라 〈마술피리〉에 나타난 선악의 해체적 사유
3. 시대비판으로서의 〈마술피리〉
제3장 온 세상이 떨리는 사랑, 베르디의 〈라 트라비아타〉(1853) / 유선옥
1. 알프레도의 사랑 고백
2. 비올레타의 사랑: 1막 5장
3. 비올레타의 ‘희생’: 2막과 3막
4. 비올레타의 ‘자기 구원’: 3막 7장과 서곡
맺음말: 베르디가 자신의 연인에게 건네는 위로
제4장 단순명료한 멜로스의 힘, 빈첸초 벨리니의 〈청교도〉(1835) / 이용숙
1. 19세기 유럽 오페라계의 벨리니 숭배
2. 광기와 천재성: 사랑과 실성의 드라마
3. 벨칸토 시대 테너의 고음 테크닉
4. 고전주의 이상에 따른 단순명료한 멜로스의 힘
맺음말: 결말의 의외성
제5장 루크레티아의 죽음에 대한 숙고, 브리튼의 〈루크레티아의 능욕〉(1946) / 장유라
1. 문학에 대한 특별한 애정
2. 시대를 초월한 스토리
3. 단순하지만 충분한 의미를 내포하다
4. 죽음에 대한 숙고
맺음말
제6장 시간, 기억, 역사를 품은 ‘아름답지 않은 소리’의 미학, 침머만의 〈병사들〉(1960-64) / 조유경
1. 20세기 독일현대사 안에서 본 침머만 그리고 〈병사들〉
2. ‘공 모양의 시간’에 함의된 사상
3. 문학의 ‘시공간의 열린 형식’ 수용
4. ‘공 모양의 시간’과 비판성: ‘운명’의 기호화
맺음말: 역사에 대한 다양한 태도
제7장 삶과 종교적 텍스트가 만나는 지점, 박영희의 〈길 위의 천국〉(2021) / 이민희
1. 박영희와 종교
2. 서한을 바탕으로 한 〈길 위의 천국〉의 대본
3. 박영희와 최양업 신부
4. ‘여성’ 순교자 바르바라
5. 민중들, 그리고 길 위의 천국 속 천주교도들
맺음말
제8장 소프 오페라를 통한 오페라의 재해석, 호주 국립 오페라단과 ABC 방송국, 그리고 엘레나 카츠-셔닌의 텔레비전 오페라 〈이혼〉(2015) / 강예린
1. 텔레비전 오페라와 그 특성
2. 장르 경계의 해체와 재구성
3. 텔레비전 매체에 최적화된 음악 전략
3. 무대 밖 오페라, 안방극장의 오페라
맺음말: 매체 전환기 오페라의 새로운 가능성
제9장 전자음악으로 구현된 신적인 목소리, 에두아르도의 렉 미란다 〈람페두사〉
(2018) / 김예림
1. 21세기 템페스트
2. 시코락스(Sycorax), 아리엘(Ariel), 칼리반(Caliban)
3. 세 인물, 그리고 목소리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