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머리말
알아 두기
제1장 프롬프트 엔지니어의 개념과 오해
1. 프롬프트 엔지니어는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
2. ‘프롬프트 엔지니어’의 리브랜딩 ‘컨텍스트 엔지니어’
3. AI Agent란 무엇인가?
4. First In, Last Out. Prompt Engineering
5. LLM 사용자라면 프롬프트 엔지니어?
6. 프롬프트 엔지니어가 부재한 프로젝트
7. 프롬프트 기법을 안다고 ‘진짜’ 프롬프트 엔지니어가 아니다
8. ‘문과 코딩’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9. 프롬프트 엔지니어의 직업병
10. 프롬프트 엔지니어는 사라질까?
제2장 프롬프트의 기초
1. 프롬프트의 구성(System & User Prompt, Tools, MCP)
2. 파라미터 사이즈(Parameter Size)
3. 하이퍼파라미터(Hyperparameter, Config값)
4. 지시 사항의 유형화: ICIO
제3장 프롬프트 엔지니어의 직무 역량
1. Agent 프로젝트 사이클
2. 프롬프트 엔지니어의 채용 공고
3.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프롬프트 엔지니어의 직무 역량
4. LLM 프로젝트의 유형
5. 프롬프트 엔지니어의 직무 역량
6. 직무 역량 강화와 인력의 활용
제4장 프로젝트에서 프롬프트 엔지니어의 역할
1. 모델의 선정 및 프로젝트 방향성, 규모 파악
2. 고객사의 니즈, 업무, 데이터 분석
3.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4. Input 데이터에 대한 분석
5. 서비스 파이프라인 설계(AI Agent 설계)
6. ‘컨텍스트 엔지니어링’ 관점에서의 서비스 파이프라인 설계
7. 프롬프트 디자인
8. 프롬프트 실험 기록의 중요성
9. LLM 모델 평가와 프롬프트 평가
10. RAG 데이터의 설계
11. 프롬프트 엔지니어의 학습 데이터 설계
마치며
QUIZ 정답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