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외로움이라는 인류의 새로운 위기
외로움 팬데믹 시대
제아무리 지독한 팬데믹에도 한 줄기 빛은 있다
외로움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외로움의 가치
2장 창의적 표현활동이 지닌 힘
외로움 벗어나기 프로젝트의 시작
외로운 내면의 자기와 다시 만나기
3장 외로움, 인류의 유산
진화론적 관점에서 본 외로움
토크빌의 저주
창의적 표현의 필요성
내 외로움의 기원
4장 첫 번째 구역, 트라우마
상처 입은 용사들의 경험에서 배울 수 있는 것
복합 PTSD와 외로움의 상호작용
외로움에 대한 취약성 피라미드 모형
전 세계에 트라우마를 남긴 팬데믹
5장 두 번째 구역, 질병
곁에 아무도 없는 환경의 위험성
나와 같은 상황에 처한 사람들과의 유대
세상에서 가장 외로운 병
삶의 끝자락에서 전하는 마음
6장 세 번째 구역, 노화
폭염 속에서 외롭게 죽는 노인들
성공적으로 나이 들어가기 위한 방법
다가가기 힘든 남자
치매에서 구출해준 드럼 연주
가족을 간병하지만 스스로는 돌보지 못하는 사람들
사랑하는 사람을 먼저 떠나보낸 뒤
7장 네 번째 구역, 다름
남들과 다르다는 것의 고충
현지 말을 한마디도 할 줄 모르는 타국 생활 같은 기분
교차하는 정체성
대학생들을 위한 교내 워크숍
경계하되 내치지 말기를
8장 다섯 번째 구역, 현대성
언제 어디에서나 스마트폰과 함께
선택의 자유와 제약
파편화되는 우리 존재의 기반
총기난사 사건을 막는 방법
경외심의 힘
9장 외로움 그리고 유대
‘헬퍼스 하이’를 찾아서
공중보건이 마주한 과제와 해결법
외로움이라는 문제 앞의 과학자와 시인
감사의 글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