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여는 글 - 4
PART 1 기억 지평선에서 망각의 기슭까지
1장 오정희의 「옛우물」에 나타난 기억과 망각 - 17
1. 기억의 소환이 지나는 길목 - 17
2. 소환의 욕망과 무의식 상황 - 23
3. 잊힐 권리와 망각의 역설 - 33
4. 기억과 망각의 파생적 거울효과 - 40
2장 「혼불」의 기억과 망각에 관한 재구성 - 43
1. 기억의 소환과 망각의 소멸성 - 43
2. 소환 콤플렉스의 신화적 접근과 이해 - 49
3. 의식·욕망으로서의 기억과 망각 - 58
4. 화해·치유·회복을 위한 궁극의 기류 - 67
3장 윤동주 시의 기다림, 그 너머 불멸의 기억 - 71
1. 기억과 망각의 절대적·상대적 원리 - 71
2. 소환 콤플렉스의 기원과 개념적 추이 - 74
3. 인간적 불완전성의 회귀와 자기고백 - 77
4. 인간 의지의 근원적·실존적 저항의 역사 - 89
5. 망각에 이르는 길목, 그 너머 잔해들 - 97
PART 2 탈식민의 시선과 저항의 감성
1장 「혼불」과 〈아바타〉의 탈식민적 지향과 연대 - 103
1. 「혼불」과 〈아바타〉의 대모의식 - 103
2. 문학과 영화 장르의 문화적 지향성 - 107
3. 매안의 ‘청암’과 판도라의 ‘에이와’ - 116
4. ‘동일자’의 저항과 디스토피아의 양가성 -125
5. 「혼불」과 〈아바타〉, 그 궁극의 어머니 - 130
2장 최서해 「홍염紅焰」의 탈식민적 길항 - 133
1. 디아스포라의 삶과 외로운 시선 - 133
2. 이데올로기 너머 탈식민의 유랑 - 135
3. 빈궁 탈출을 위한 프로문학의 지향 - 142
4. 신식민지 현장에서 항일운동의 단초로 - 148
PART 3 공간 여행자들의 오래된 생명력
1장 조지훈 시의 ‘다른 공간’ 헤테로토피아 - 153
1. 현실 저편의 내적 공간과 사유 - 153
2. ‘다름’과 ‘저항’의 공간, 온세계 - 157
3. ‘치유’와 ‘회복’의 주체, 헤테로토피아 - 166
4. 인간 삶의 주체적 접근과 심미적 탐색 - 179
2장 「혼불」의 공간 구성과 헤테로크로니아 - 183
1. 식민 공간에 관한 ‘혼불’의 서사 - 183
2. 삶의 터전과 저항의 공간 - 187
3. 배반과 역설의 주체, 헤테로크로니아 - 198
4. ‘다름’과 ‘같음’의 공간 분할 - 212
PART 4 텍스트의 인지의미론적 감성과 분할
1장 김수영 「그 방을 생각하며」의 인지시학적 기류 - 217
1. 김수영 언어의 실체와 그림자 - 217
2. 시대적·사회적 인식에 관한 인지의미 구조 - 220
3. 미래지향적 언어효과와 주제의식 - 235
2장 「혼불」의 인지의미론적 접근과 언어 담론 - 239
1. 모국어 텍스트에 관한 프레임 혹은 단서 - 239
2. 신체화 담론으로서 언어적 인지체계 - 243
3. 회귀 모티프 원리와 신체중심 어휘 - 249
4. 의미 범주에 관한 텍스트 원형성 - 257
5. 신체 전략적 언어 의미망 구축 - 263
PART 5 천이두, 우리 시대 거장과의 인터뷰
1장 「한의 구조 연구」에 관한 시대적 사색 - 269
1. 실존적 자각으로서 ‘한’의 정체성 - 269
2. 어두운 내포를 품은 ‘한’의 패러독스 - 272
3. 밝은 지향으로서 ‘한’의 패러다임 - 277
4. 상극의 울림이 빚어내는 ‘한’의 궁극성 - 282
2장 천이두, 문학과의 화양연화를 꿈꾸다 - 287
1. 천이두의 삶과 문학 - 287
2. 문학적 환생과 서사敍事의 서사書史- 290
3. 천이두·황순원, 비단자락의 인연 - 293
4. 황순원 문학에 대한 천이두의 비평의식 - 297
5. 화양연화로 남은 천이두의 삶과 향기 - 309
이색논층 미술 텍스트의 정신분석학적 인텔리전트
마르셀 뒤샹, 레디 메이드의 순수·감성·고뇌 - 315
1. 기성품에 대한 반격과 성찰 - 315
2. 레디 메이드의 무의식적 미학체계 - 320
3. 레디 메이드의 이중적 굴레와 딜레마 -335
4. 초월적·신화적 무의식 공간 범주 - 345
참고문헌 -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