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문
1.1. 기획 의도와 목표
1.2. 건축과 미디어아트 융합의 필요성
1.3. 책의 구성과 접근 방법
2. 미디어아트와 건축의 만남: 개념과 역사
2.1. 건축에서 ‘미디어’가 의미하는 것
2.2. 미디어아트의 태동과 확장
2.3. 미디어아트가 건축에 스며든 초기 사례
2.4. 디지털 기술 발전과 도시·공간 패러다임 변화
3. 융합을 위한 핵심 기술과 트렌드
3.1. 프로젝션 매핑, LED 파사드, XR 등 시각 매체 기술
3.2. 인공지능·머신러닝 기반 디자인 & 시뮬레이션
3.3. 인터랙션(상호작용) 기술: 센서, 사운드, 모션 트래킹 등
3.4. 데이터 시각화와 실시간 피드백
4. 미디어아트+건축 융합 디자인 프로세스
4.1. 개념 구상 스토리텔링과 주제 설정
4.2. 협업의 생태계: 건축가·엔지니어·미디어아티스트·디자이너의 역할
4.3. 프로토타이핑과 테스트: 목업, 디지털 시뮬레이션, 사용자 반응 조사
4.4. 구현 단계: 기술적·공학적 이슈 및 해결 방안
4.5. 유지·관리와 업그레이드: 지속 가능한 시스템 설계
5. 공공성, 도시, 그리고 공간 경험
5.1. 미디어파사드와 도시 브랜딩
5.2. 공공 예술로서의 미디어아트 건축
5.3. 사용자 참여(Participatory) 디자인의 중요성
5.4. 도시 맥락(Context)과 주민 만족도
5.5. 문화·관광 자원으로서의 가치
6. 사례 연구(Case Studies)
6.1. 세계적인 융합 프로젝트 Top 5: 프로젝트별 배경·목표·결과 분석
6.2. 설치 미술, 상업 공간, 공연장, 박물관 등 다양한 스케일의 융합 사례
7. 새로운 디자인 방향성 제시
7.1. ‘공간 경험’ 중심의 설계 철학
7.2. 예술·테크·사회적 가치가 결합된 미래형 모델
7.3. 건축물의 ‘생명력’을 확장하는 인터랙티브 전략
7.4. 가상현실·디지털 트윈 시대의 물리-가상 융합 건축
7.5. 커뮤니티 기반 창작과 협업: 사용자 참여의 확장
8. 실무 적용 가이드
8.1. 기획부터 시공까지: 단계별 체크리스트
8.2. 필요한 도구 & 소프트웨어
8.3. 프로젝트 관리와 예산 편성 노하우
8.4. 팀 빌딩과 전문가 네트워크 활용 방법
8.5. 유지·보수 및 안전, 법규 고려
9. 미래 전망과 결론
9.1. 앞으로 10년, 미디어아트와 건축은 어디로 가는가
9.2. 융합 건축이 가져올 사회·문화·경제적 영향
9.3. 맺음말: 예술로서의 건축, 공간으로 실현되는 예술
부록 1. 용어 정리
부록 2. 미디어아트+건축 융합 프로젝트 단계별 체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