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통섭과 도약의 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거인의 어깨’
일러두기
1장 종교: 신의 목소리를 찾아서
1. 크리슈나: ‘모크샤’는 어떻게 도달할 수 있는가?
2. 석가모니: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은 무엇인가?
3. 예수: 사랑과 용서는 어떻게 인간을 구원하는가?
4. 마호메드 : 타후히드를 이루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2장 인간과 사회와 자연: 조화와 행복
5. 공자: 덕은 인간과 사회를 어떻게 완성시키는가?
6. 노자: 자연의 질서와 삶은 어떤 관계인가?
7. 소크라테스: 지혜는 무지를 깨닫는 데서 시작되는가?
8. 세네카: 절제와 평정은 어떻게 가능한가?
3장 신과 인간: 신 안에서의 삶
9. 안셀무스: 자유의지는 책임을 수반하는가?
10. 알 가잘리: 진정한 삶은 어떻게 완성되는가?
11. 루터: 개인은 어떻게 신 앞에 서는가?
4 장 권력의 무게: 그 도덕적 책무
12. 알 파라비: 철인왕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13. 솔즈베리: 기사는 어떤 존재인가?
14. 왕양명: 지식과 행동은 하나인가?
15. 야마가 소코: 평화의 시기 무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16. 프랭클린: 시민의 삶은 어떠해야 하나?
5장 개인의 탄생: 자아와 자유를 찾아서
17. 볼테르: 이성과 관용은 인간을 어떻게 구할 것인가?
18. 흄: 나는 존재하는가 아니면 구성되는 것인가?
19. 피히테: 자아는 어떻게 세계를 구성하고, 자유를 확립하는가?
20. 쇼펜하우어: 고통은 의지로부터 기원하고 필연적인가?
21. 소로: 진정한 삶은 자연에서 이뤄지는가?
6장 철학적 인간학: 인간에 대한 본격적 연구
22. 헤르더: 인간은 어떻게 인간이 되는가?
23. 막스 셀러: 인간은 우주의 완전성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7장 실존과 자유: 자기 자신이 되는 길
24. 키에르케고르: 철학은 ‘실존’에 어떤 답을 줄 수 있는가?
25. 니체: 초인은 어떻게 가능해지는가?
26. 야스퍼스: 실존은 초월을 통해 완성되는가?
27. 사르트르: 자유는 연대이고 책임인가?
8장 욕망과 동기: 무의식과 대타자
28. 프로이트: 자아는 마음의 주인인가?
29. 융: 자기 실현은 어떻게 이뤄지는가?
30. 아들러: 열등감은 어떻게 삶을 이끄는가?
31. 매슬로우: 인간의 욕구는 계층성을 갖는가?
32. 라캉: 욕망의 원천은 대타자의 시선인가?
9장 유전자와 환경: 진화와 생명의 시선
33. 다윈: 인간은 어떻게 인간으로 되었는가?
34. 도킨스: 모든 것은 유전자로부터 시작되는가?
35. 굴드: 진화는 우연과 다양성을 향하는가?
36. 폭스 켈러: 생명은 복잡계인가?
10장 관계와 책임: 나와 너, 그리고 인간됨
37. 부버: 인간은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완성되는가?
38. 프랭클: 고난 속에서도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가?
39. 프롬: 사랑은 인간을 자유롭게 하는가?
40. 레비나스: 타자의 얼굴은 나에게 책임을 묻는가?
11장 자연과 윤리: 인간 너머의 시선
41. 레오폴드: 인간은 땅의 주인인가?
42. 마사노부: 간소한 삶은 자연과 어떻게 조화하는가?
43. 윌슨: 인간은 자연의 주인인가? 아니면 관리자인가?
44. 플럼우드: 자연은 배경인가? 주체인가?
12장 몸과 정체성: 완전한 존재로서의 인간
45. 울스턴크래프트: 여성은 인간인가?
46. 보부아르: 여성은 어떻게 인간이 되는가?
47. 세지윅: 사랑은 ‘성’을 뛰어넘는가?
13장 저항과 실천: 바꾸는 인간
48. 마르쿠제: 억압적 관용에 순응할 것인가?
49. 체 게바라: 새로운 인간은 어떻게 태어나는가?
50. 피터 싱어: 사회적 책임은 어디까지 확장되어야 하는가?
14장 의식과 자아: 주관과 객관
51. 데닛: 의식은 두뇌가 만들어낸 ‘설명’인가?
52. 차머스 : 무엇을 느끼는 것의 본질은?
15장 변화하는 존재: 포스트 휴먼
53. 슬로터디아크: 인간은 스스로를 만들어가는 존재인가?
54. 해러웨이: 인간은 비인간 존재와 어떻게 공진화하고 있는가?
55. 브라이도티: 포스트휴먼의 시대가 오고 있는가?
16장 기술과 미래: 인간의 경계를 다시 그리다
56. 커즈와일: 특이점 이후 인간과 AI는 어떻게 융합될 것인가?
57. 보스트롬: 슈퍼인텔리전스는 인간과 동행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