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1장 서론
2장 유권자의 특성과 투표
1. 컬럼비아 학파와 투표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
2. 유권자의 특성에 따른 투표 선택의 차이
3. 한국의 계급배반투표
4. 한국의 지역주의 투표
Part 1
3장 정당일체감과 투표
1. 미시간 학파와 정당일체감
2. 정당일체감 개념을 둘러싼 논쟁
3. 한국 유권자의 정당일체감
4. 무당파는 누구인가?
4장 이념성향과 투표
1. 선거에 대한 합리적 선택 이론
2. 이념투표에 대한 비판
3. 한국 유권자의 이념투표
4. 진보-보수 이념성향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
5장 회고적 투표
1. 회고적 투표의 의미
2. 한국 유권자의 회고적 투표
3. 회고적 투표에 대한 비판
Part 2
6장후보자 요인
1. 후보자 요인의 중요성
2. 현직 효과
3. 당파적 양극화와 후보자 요인
7장 이슈 투표
1. 이슈 투표의 조건
2. 이슈 투표의 실제
3. 합의 이슈와 정당의 이슈 소유권
8장 선거운동과 미디어
1. 선거운동과 미디어의 효과
2. 정보 전달 방식과 유권자의 태도 변화
3. 뉴미디어의 등장
Part 3
9장 투표 참여와 기권
1. 누가 투표하는가?
2. 왜 투표하는가
3. 선거제도와 투표율
4. 투표율의 정치적 의미
10장 투표 외 다양한 정치 참여
1. 정치 참여의 유형
2. 다양한 정치 참여와 참여자 유형
3. 촛불집회를 통해 본 한국인의 비통상적 정치참여
Part 4
11장당파적 양극화
1. 당파적 양극화: 개념과 현상
2. 정서적 양극화의 원인과 결과
3. 정서적 양극화 완화 방안
12장 민주주의에 대한 태도
1. 민주주의에 대한 평가와 지지
2. 어떤 민주주의인가?
3. 포퓰리즘 성향과 민주주의
13장선거제도와 투표행태
1. 선거제도의 유형
2. 다수제와 비례대표제 간 투표행태의 차이
3. 혼합형 선거제도에서의 분할투표
이 책에서 사용된 설문조사 자료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