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1. 상황은 중요하다
나의 문화적 맥락 - 미국 그리스도교
오늘날의 분열
정치적으로 분열된 그리스도교
2. 신앙은 여정이다
그 시절 그곳
그리스도교인으로 자라나다
회심들
첫 번째 회심 - 지적(그리고 종교적) 회심
두 번째 회심 - 정치적(그리고 종교적) 회심
3. 하느님은 실재하며 신비이다
신비 체험과 하느님
신비 체험이 나의 하느님 이해에 끼친 영향
초자연적 유신론에 대한 대안
4. 구원은 내세보다 여기에서의 삶에 관한 것이다
세 가지 인식의 단계
구원
내세는 성서의 중심이 아니다
내세가 강조될 때 그리스도교에는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구원은 변화에 관한 것이다
내세
이 모든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
5. 예수는 성서의 규범이다
때때로 성서는 틀리다
대안
성서는 그리스도교인들을 위한 성스러운 경전이다
성서가 틀렸을 때 이를 어떻게 분별할 수 있는가
6. 성서는 문자적으로 사실이 아니어도 참일 수 있다
오늘날의 성서 문자주의
성서 문자주의의 불가능성
대안
역사적 해석
은유적 해석
성서 이야기들과 비유적 의미
비유로서의 창조 이야기들
비유적 해석의 또 다른 예들
7. 예수의 십자가 죽음은 중요하다 - 그러나 우리의 죗값을 치렀기 때문은 아니다
역사적·신학적 문제들
역사의 맥락에서 바라본 예수의 십자가
예수의 죽음은 중요하다
예수의 죽음이 지닌 두 번째 의미
8. 성서는 정치적이다
그리스도교와 정치의 분리?
성서의 정치
9. 하느님은 정의를 열망하시며 가난한 이들을 깊이 돌보신다
예언자 아모스의 특별한 위치
고발
심판
아모스 1장 3절~2장 16절
아모스와 아마샤
아모스와 미국 그리스도교
10. 그리스도인은 평화와 비폭력으로 부름받았다
기억들
초기 그리스도교의 평화주의(비폭력)
‘정당한 전쟁’ 신학(제한적인 참여)
‘성스러운 전쟁’ 신학(폭력의 무제한 허용)
전쟁에 대한 순응
성서와 폭력
성서 본문에 대한 반론
다른 반론들에 대한 응답
11. 하느님을 사랑한다는 것은 하느님처럼 사랑하는 것이다
하느님을 사랑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하느님을 사랑한다는 것은 하느님께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다
하느님이 사랑하시는 것을 사랑하라
하느님을 사랑하고 하느님께 중심을 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