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면서 07
제1장 고고학과 GIS 11
1.1 고고학에서의 공간 13
1.2 고고학에서 GIS의 활용 17
제2장 GIS와 공간정보 25
2.1 GIS의 정의 27
2.2 공간정보와 공간데이터 30
2.2.1 공간정보의 종류
2.2.2 공간데이터
2.2.3 속성데이터
제3장 수치지도와 수치표고모델 39
3.1 수치지도 41
3.1.1 수치지형도
3.1.2 수자원단위지도
3.1.3 수치지질도
3.1.4 수치토양도
3.1.5 수치주제공간정보
3.2 수치표고모델 57
3.2.1 기 구축 수치표고모델의 이용
3.2.2 수치표고모델의 제작
제4장 유적 공간정보 구축 79
4.1 사용자 유적 공간정보 구축 81
4.2 국가 차원의 유적 공간정보 구축 86
제5장 유적분포도 작성 93
5.1 고고학 연구와 유적분포도 95
5.1.1 유적분포도의 중요성
5.1.2 유적분포도의 변천
5.2 GIS를 이용한 유적분포도 작성 107
5.2.1 유적분포도 작성 절차
5.2.2 수치지도 활용 유적분포도
5.2.3 수치표고모델 활용 유적분포도
5.2.4 심볼을 이용한 유적분포도
5.2.5 국가공간정보 이용 유적분포도
제6장 점패턴 분석 125
6.1 고고학에서의 점패턴 분석 127
6.2 점패턴 분석의 정의와 분석 기법 128
6.2.1 점패턴과 점패턴 분석
6.2.2 점패턴 분석 기법
제7장 유적 자원영역분석 153
7.1 유적 자원영역분석의 개념 155
7.2 유적 자원영역분석과 GIS 159
7.2.1 반경 영역
7.2.2 이동 경로
7.2.3 수문해석
제8장 유적 입지분석 177
8.1 고고학 연구와 입지분석 179
8.2 고고학적 예측 모델링의 몇 가지 문제 182
8.2.1 환경결정론적 접근 방식
8.2.2 귀납적·연역적 모델링의 이분
8.2.3 데이터의 편향성과 분석 방법
8.3 GIS를 이용한 예측 모델링 방법 184
8.3.1 예측 모델링 절차
8.3.2 환경 변수
8.3.3 예측 모델링 기법
제9장 가시권 분석 207
9.1 경관고고학과 가시권 분석 209
9.2 가시권 분석 방법과 종류 214
9.2.1 분석 방법
9.2.2 가시권 분석
제10장 네트워크 분석 233
10.1 고고학과 네트워크 235
10.2 GIS를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 238
10.2.1 입지-배분 모델
10.2.2 사회 네트워크 분석
제11장 고고학 GIS의 미래 263
11.1 인공지능과 고고학 GIS의 융합 265
11.2 UAS와 다차원 GIS의 발전 270
11.3 고고학 지식정보 플랫폼, GIS 274
참고문헌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