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여는 글
1부 시천주 주체성
1장 남원과 최제우, 한글 노래 『용담유사』
2장 영남 동학의 뿌리 ― 이돈화의 『동학당』
3장 원주와 김지하, 최시형의 ‘실천 동학’ ― 김지하의 『이 가문날에 비구름』
2부 동학과 파레시아
4장 정읍과 전봉준, 19세기 혁명의 조건 ― 박태원의 『갑오농민전쟁』과 송기숙의 『녹두장군』
5장 우금티, 신동엽의 『금강』, 동학의 부활
3부 외면, 숨김, 드러냄
6장 고창과 서정주, 새로 쓰는 ‘질마재 신화’
7장 장흥과 이청준 그리고 천관산의 비밀
8장 하동, 박경리의 『토지』와 지리산 동학
닫는 글: 준비된 혁명, 부활하는 동학
부록: 동학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