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 한국 유아교육의 코페르니쿠스
제1장 어린 시절(1949~1967)
# 생비량면 한디미
# 생비량초등학교(1955) # 감나무 평상(트리하우스)(1958) # 진주중·고 시절(1961~1967) # 부모님 가르침
# 작은 일탈(1965)
제2장 서울대학교(1967~1973)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입학(1969)
# 대통령 승용차 투석 시위 주동자(1971)# ROTC 후보생 ‘꽁총’ 시절(1972)# 선정회(宣正會)(1972)
# 대학 시절 생활 전선
# 미팅 자리에서(1969)
제3장 군 복무 & 결혼(1973~1978)
# ROTC 임관과 군 복무(1973~1975)# 첫 직장 - 중학교 도덕 교사(1975~1976) # 결혼(1977)
제4장 한국행동과학연구소(1978)
제5장 부산대학교 전임강사(1979)
제6장 숙명의 유아교육과(1982)
# 박사학위(1988)
제7장 유아교육에 대한 코페르니쿠스적 전환(1988~)
# 부산유아교육학회 결성(1988)# 미국식 유아교육 단절(1990)# 우리 아이들의 보육을 걱정하는 모임(1990~1995)
# 보육교사교육원 교재 개발(1998)
제8장 부산대학교 보육종합센터 개관(1995)# 부산대학교 어린이집 원장(1995~2007)
제9장 대안교육운동(1996년)
제10장 유보통합운동(1996~)
# 만 5세 유치원 무상교육 추진 운동(1996~1997)# 유아교육 공교육 추진 운동(1997~)
# 역대 정부의 유보통합 관련 정책
# 대한민국 교육대전환 제안서
제11장 생태유아교육의 탄생(1993~)
# 주류 유아교육
# 가르치지 않는 교육
# 생명사상을 만나다
#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시리즈
# 아이 교육의 제1 원리 - 자연의 섭리대로, 사람의 도리대로
제12장 생태유아공동체 창립(2002~)
# 인드라망생명공동체
# 쿠바의 도시농업과 세계유기농업대회 참관
제13장 생태유아교육학회 창립(2002)
# 21세기 문명의 전환과 유아교육의 새로운 방향
제14장 해관 장두석 선생과의 만남(2005)
제15장 숲유치원운동(2010~)
제16장 좋은 부모 자격증(2013~)
제17장 한국생태유아교육연구소(2013~)
제18장 정년퇴임, 그리고 방정환한울어린이집(2014)
제19장 생태전환 컨설팅(2016~)
제20장 생태유아교육 확산(2019~)
# 세종형 생태유아교육
# 서울시 생태친화보육사업
제21장 2019년 개정 누리과정(2019)
# 놀이운영사례집 - 『자연과 아이다움을 살리는 생태놀이』
제22장 민주부산시민연대(2025)
제23장 아쉬움 2제
제24장 평생의 꿈 - K생태유아교육 세계 확산
에필로그 - 아이행복 세상을 향한 지행합일(知行合一)의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