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우리의 글쓰기에는 특별한 것이 있다
제1강 우리는 왜 글을 잘 쓰고 싶은가│고수의 전략1: 글감 찾기
나를 발견하는 글쓰기
사소한 이야기가 지닌 힘
경험과 주장이 만나면 놀라운 일이 벌어진다
남들은 나에게 관심이 없다
솔직함과 배려 사이의 균형을 찾자
제2강 나의 삶은 어떻게 글이 되는가│고수의 전략2: 서사력 키우기
어떻게 ‘나’를 드러낼 것인가?
자세하게 관찰해야 하는 이유
기억은 어떻게 끌어내는가?
멀리서 봐야 한눈에 보인다
‘나’를 뭐라고 쓸 것인가?
“살았던 모습을 전달하고 싶다”
왜곡하지 않도록 선별하라
체험에 새로운 옷을 입혀라
예기치 못한 순간에 만난 감동을 기억하라
‘화제’에서 멈추지 말고 ‘문제’로 들어가라
근사하지 않으면 큰일 나는가?
제3강 마음을 울리는 글은 무엇이 다른가│고수의 전략3: 표현력 완성하기
“글을 쓰니 내가 이긴 것 같아요”
좋은 글은 유리창과 같다
보여 주지 말고 겪게 하라
그냥 ‘시간’이라고 쓰지 마라
설명이라는 틀에 주장을 녹여라
문단은 글쓰기의 지도이다
일단 다섯 문단만 써 보라
사람을 끌어들이는 고수의 진짜 전략
요약은 나의 힘
바른 문장의 8가지 조건
틀려서 고친다고 생각하지 마라
제4강 노련한 단어 사용이 글의 품격을 바꾼다│고수의 전략4: 어휘력 늘리기
특별하게 쓰고 싶다면 더 구체적으로
“당신의 주머니에 음악 1,000곡이 들어 있다”
설명하지 말고 보여 줘라
나만 아는 단어만 빼도 좋아진다
아주, 매우, 몹시, 대단히, 굉장히, 엄청나게
낡은 시대의 차별어 대신 요즘 시대의 배려를
제5강 글쓰기는 삶을 대하는 태도다│고수의 전략5: 철학 녹이기
천재는 99%의 노력과 1%의 영감으로 이루어진다
처음부터 완벽하길 기대하지 마라
나를 주저앉히는 7가지 이유들
“모든 초고는 쓰레기다”
내 삶은 충분히 기록으로 남길 만하다
나가며 오늘 못 쓰더라도, 내일 다시 펜을 들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