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제1부 신라 국가의 발전
한자의 전래와 수용과정 3
1. 머리말 3
2. 대외 通交와 한자의 전래 5
3. 한자 수용과 신라인의 표기 양상 23
4. 맺음말 45
가뭄과 홍수 그리고 국가의 대응 전략 47
1. 머리말 47
2. ‘水旱之災’의 발생 양상 50
3. 국가의 대응 전략 65
4. 맺음말 87
上代의 왕위계승과 政變 89
1. 머리말 89
2. 上古의 왕위계승과 정변 90
3. 中古의 왕위계승과 정변 105
4. 맺음말 121
사회통합과 외교전략의 리더, 태종무열왕 123
1. 머리말 123
2. 김춘추의 혼인과 사회통합 125
3. 외교전략의 변화와 리더십 136
4. 맺음말-김춘추에서 태종무열왕으로- 150
고대 청송 지역의 역사적 변천과 領域 153
1. 머리말 153
2. 辰韓 12국의 판도와 청송 지역 154
3. 「삼국사기」 지리지의 ‘本高句麗郡縣’과 청송 지역 165
4. 「삼국사기」 직관지의 ‘伊火兮停’과 청송 지역 174
5. 「삼국사기」・「고려사」 지리지의 甫城府와 청송 지역 189
6. 맺음말 203
제2부 신라 문화의 발달
「삼국사기」 직관지 武官條와 신라의 군사 조직 207
1. 머리말-문제 제기 207
2. 武官條의 구조와 내용 209
3. 武官條를 통해 본 신라의 군사 조직 236
5. 맺음말 246
「삼국유사」와 최치원 249
1. 머리말 249
2. 「삼국유사」 속의 최치원 관계기사 검토 251
3. 一然의 최치원 자료 활용과 그 인식 266
4. 맺음말 276
「삼국유사」의 편목과 一然의 신라 불교 인식 279
1. 머리말 279
2. 「삼국유사」 속의 「승전」과 「고승전」 282
3. 「삼국유사」의 편목 구성 287
4. 「삼국유사」의 편목 구성을 통해 본 일연의 신라 불교 인식 299
5. 맺음말 314
「통전」 변방 신라조의 구성과 찬술자의 신라 인식 317
1. 머리말 317
2. 신라 條의 구성과 내용 321
3. 찬술자의 신라 인식 332
4. 맺음말 342
한국사 디지털 자료의 활용 현황과 과제 345
1. 머리말 345
2. 한국사 자료의 디지털화 推移 347
3. 한국사 디지털 자료의 활용 現況 352
4. 한국사 디지털 자료의 확장을 위한 提言 359
5. 맺음말 368
참고문헌 371
초출일람 391
찾아보기 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