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천수(天授) 혁명 왕건과 고려
1. 분열 속 새로운 시대로의 여명
1) 후삼국의 정립과 관계
2) 새로운 후삼국 정립과 시대 과제
3) 신성한 왕건 가문 만들기
4) 풍수도참과 왕건, 그리고 불교
2. 삼한 일통 전쟁과 「훈요십조」
1) 천명 수수와 삼한 일통 전쟁
2) 전쟁 후 사회통합 노력과 질서 재편
3) 왕조 안정책의 시행
4) 삼한 일통의 의미와 시대 과제로서의 「훈요십조」
제2장 5백 년 왕조의 토대 만들기
1. 혜종, 정종과 왕자의 난
1) 혜종의 즉위와 고명대신
2) 흔들리는 왕권과 왕규
3) 정종과 왕식렴
4) 시대 과제
2. 광종의 못 이룬 꿈과 대성(大成)
1) 광종의 즉위와 꿈
2) 왕권 강화의 앞면: 1기
3) 개혁과 의문: 2기
4) 개혁의 뒷면과 시대 과제: 3기
3. 경종의 내선(內禪)과 성종의 지치(至治)
1) 경종의 즉위와 개령군 왕치
2) 성종의 즉위와 최승로
3) 중흥군주의 정치와 거란과의 전쟁
4) 성종의 죽음과 시대 과제
4. 목종과 흔들리는 왕실
1) 목종의 혈통과 즉위
2) 목종의 정치와 대거란 문제
3) 천추태후와 대량원군
4) 목종의 죽음과 시대 과제
제3장 위기 극복과 해동천하
1. 수난의 용손 현종 즉위와 새로운 고려 왕실
1) 현종의 용비와 왕실
2) 신성한 왕실 새로 세우기
3) 위기의 연속과 태평 시대
4) 현종의 죽음과 시대 과제
2. 형제 계승이 만든 해동천하와 문종의 정치
1) 덕종의 즉위와 아쉬운 응천(應天)
2) 정종의 즉위와 "선계선술(善繼善述)"의 정치
3) 촉유(燭幽) 문종의 즉위와 정치 방향
4) 성수만세(聖壽萬歲)로 이룬 소중화(小中華)
5) 문종의 죽음과 시대 과제
3. 순종, 선종, 헌종, 숙종의 왕위계승과 정치
1) 36년간의 후계자 교육 대 4개월의 재위 기간, 순종
2) 왕실의 위기와 계천(繼天), 선종
3) 강성한 종실과 유약한 군주, 헌종
4) 숙종의 즉위와 10년간의 천하 운영
5) 23년의 세월이 남긴 시대 과제
제4장 12세기 대전환 속 고려의 선택
1. 덕치와 모화(慕華)로 이룬 예종의 문물
1) 예종의 즉위와 왕실
2) 예종의 정치와 여진 정벌
3) 예종의 죽음과 시대 과제
2. 국제질서의 대전환과 인종
1) 인종의 즉위와 왕실
2) 금과의 통교와 남송과의 외교
3) 왕실을 흔든 조선국공 지군국사 이자겸
4) 인종의 개혁 정치와 묘청의 서경 천도, 칭제건원
5) 인종의 죽음과 시대 과제
제5장 제왕과 무신정권
1. 의종과 총행 세력의 태평호문
1) 의종의 즉위와 왕실
2) 의심왕 의종
3) 지나친 사불사신(事佛事神)
4) 간유폐첩(姦諛嬖妾)
5) 의종의 정치와 죽음, 그리고 시대 과제
2. 명종의 왕권과 무신 시대 개막
1) 명종의 즉위와 왕실
2) 유응규와 명종 책봉
3) 무신정권이라는 괴물의 탄생
4) 명종의 정치와 시대 과제
3. 고려 왕실과 최씨 무신정권: 신종, 희종, 강종, 고종
1) 네 군주의 즉위와 왕실 구성
2) 최씨 무신정권
3) 여몽 전쟁과 강도(江都) 시대
4) 네 명의 군주와 시대 과제
4. 무신정권의 종식과 왕권 회복: 원종
1) 원종의 즉위와 왕실
2) 무신정권과 출륙환도
3) 삼별초의 항전과 의미
4) 원종의 죽음과 시대 과제
제6장 고려와 원 그리고 부마고려국왕
1. 원과의 관계 정립과 충렬왕의 정치
1) 충렬왕의 즉위와 왕실
2) 원과의 관계 설정: 황제를 이용하라
3) 풍속과 제도의 변화
4) 충렬왕의 죽음과 정국 운영이 남긴 시대 과제
2. 두 얼굴의 개혁 군주 충선왕
1) 충선왕의 두 번 즉위와 왕실
2) 개혁인가 권력 지키기인가, 변질된 개혁
3) 충선왕의 죽음과 과제
3. 부자상이(父子相夷) 탕욕(湯浴) 군주 충숙왕
1) 충숙왕의 즉위와 왕실
2) 음울한 충숙왕의 정치
3) 심왕 옹립 운동
4) 입성책동론과 그 저지 운동
5) 충숙왕의 죽음과 과제
4. 아야마고지나(阿也麻古之那) 악양망고지난(岳陽亡故之難) 충혜왕
1) 충혜왕의 즉위와 왕실
2) 탐음무도 충혜왕의 폐행정치
3) 충혜왕의 죽음과 시대 과제
5. 유충(幼沖) 군주와 왕실의 위기: 충목왕과 충정왕
1) 충목왕의 혈통과 즉위
2) 4년간의 치세와 12살의 죽음
3) 충정왕의 즉위와 3년 재위 그리고 강화로의 축출
4) 충정왕의 죽음과 강릉대군의 숙제
제7장 왕조의 가을과 역성혁명
1. 원명교체기 속 공민왕 대 개혁 정치의 명암
1) 공민왕의 즉위와 왕실
2) 여전한 폐행과 환관의 세상
3) 개혁 추진과 분기점들
4) 1기 개혁과 한계
5) 2기 개혁과 한계
6) 3기 개혁과 한계
7) 명에 대한 사대와 불편한 관계
8) 공민왕의 죽음과 과제
2. 우왕, 창왕의 실정과 혁명의 단초
1) 우왕의 즉위와 왕실
2) 명덕태후와 경복흥, 이인임
3) 명 사신 채빈 살해 사건과 그 후폭풍
4) 철령위 설치와 요동 정벌
5) 위화도 회군과 창왕 즉위
6) 우왕, 창왕의 죽음과 시대 과제
3. 공양왕의 즉위와 역성혁명
1) 탐주로 즉위한 공양왕과 왕실
2) 새로운 권력의 탄생과 집권 세력 간 갈등
3) 공양왕과 정몽주의 군신연대
4) 정몽주 제거와 더 결속된 이성계 세력
5) 공양왕의 마지막 한 수, 군신동맹
6) 혁신의 시대 속 공양왕
7) 이성계의 사직론과 명분 쌓기
8) 공양왕의 시대착오와 폐위 명분
9) 공양왕의 폐위와 천인감응적 역성혁명의 논리
10) 명에서의 이성계 세력 방조와 "자주자요(自做自要)", "성교자유(聲敎自由)"
11) 공양왕의 죽음과 고려 왕실 세력 발본색원
12) 건국의 합리화와 고려 왕씨 자손 보존론
부록 1: 고려 제왕 일람표
부록 2: 고려 제왕 세계도
사진 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