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서론: 산 자의 다시 기억하기
1부 | 3·1운동과 중국 언론의 다시 기억하기
1장 창사 『대공보』에 비친 3·1운동의 경과와 영향
1) 머리말
2) 3·1운동의 원인
3) 3·1운동의 경과
4) 3·1운동의 영향
5) 맺음말
2장 베이징 『국민공보』에 나타난 3·1운동의 보도 현황과 성격
1) 머리말
2) 일제의 폭정 고발
3) 독립선언의 정당성
4) 3·1운동의 영향 및 의의
5) 맺음말
3장 해외 언론의 제암리 보도의 기억 양태와 시대적 상이성
1) 머리말
2) 중일 언론의 화성 지역 3·1운동과 ‘제암리 제노사이드’ 보도 양태
3) ‘제암리 제노사이드’ 기억, 선양 및 기념사업
4) 맺음말 : 평화공생체 담론의 장
4장 『구망일보』, 『해방일보』의 3·1운동 다시 기억하기
1) 머리말
2) 『구망일보』의 창간과 조선의용대
3) 『구망일보』의 3·1운동 다시 기억하기
4) 『해방일보』와 조선의용대
5) 『해방일보』의 3·1운동 다시 기억하기
6) 맺음말
2부 | 한인(조선인) 제노사이드와 해외 언론
1장 창사 『대공보』의 경신참변에 대한 보도의 성격
1) 머리말
2) 훈춘사건과 중국의 인식
3) 보복의 억지 그림자, ‘간도출병’
4) 경신참변과 한국독립운동의 동향 보도
5) 맺음말
2장 1923년 일본 관동 조선인 대학살과 해외 언론의 보도 양태
1) 머리말
2)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과 한인독립운동 세력의 대응
3) 해외 언론에서의 관동대진재 보도 양태
4) 맺음말
3부 | 한중 연대와 중국 언론
1장 『구망일보』와 『해방일보』에 비친 조선의용대의 활동과 성격
1) 머리말
2) 『구망일보』의 조선의용대 활동
3) 『구망일보』에 비친 조선의용대의 위상
4) 『해방일보』 기사 속 조선의용대의 활동과 대원들의 희생
5) 맺음말
2장 한국광복군의 성립과 한중 공동항일투쟁
1) 머리말
2) 한국광복군 성립 전례식과 총사령부 건물
3) 『구망일보』와 『신보』의 한국광복군 보도 기사
4) 『해방일보』의 대한민국임시정부 관련 기사
5) 맺음말
결론 : 평화공생 네트워크의 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