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1 한반도 일차 건강관리 플랫폼 논의의 필요성 | 김석향
1 | 북한이탈주민과 북한주민의 건강권 문제
2 | 용어의 정리
1) 탈북자, 탈북민, 북한이탈주민
2) 한반도 1차 건강관리 플랫폼
3 | 기획 의도와 구성
1) 이 책의 기획 의도
2) 이 책의 구성
(1) 한반도 일차 건강관리 플랫폼 논의의 필요성과 중요성 (김석향)
(2) 음식과 건강 (천경효)
(3) 위생과 건강 (김미주)
(4) 국제사회 지원과 건강 (임소진)
Part 2 음식과 건강 | 천경효
1 | 들어가며
2 | 음식과 신체, 건강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방식
3 | 천리마(2010-2019)에 실린 글들을 통해 본 북한의 음식과 건강에 대한 사고
1) 천리마
2) 영양가와 치료효능의 강조
(1) 일반 영양가 강조의 사례
(2) 특수 영양가 강조의 사례
(3) 직접 치료효능 강조의 사례
3) 식품관련 건강정보 구성
(1) 건강상식
(2) 의학상식
(3) 아시는지요
(4) 민간료법
(5) 의사상담실
4 | 나가며
Part 3 위생과 건강 | 김미주
1 | 서론
2 | 연구 방법 및 분석 대상 자료 특징
1) 연구 방법
2) 분석 대상 자료 소개
3) 분석 대상 자료 연도별·주제별 추이
(1) 연도별 위생 기사 추이
(2) 주제별 빈도 분석
3 | 김일성 시기 : 사회주의적 보건의료 시스템 구축과 민간요법 중심 위생 정책
1) 사회주의적 의료체계 구축
2) 예방의학 강조 및 고려의학 활용
4 | 김정일 시기 : 경제난과 보건의료 시스템 위기
1) 경제난과 위생 인프라 붕괴
2) 국제 원조 의존 증가
5 | 김정은 시기 : 보건의료 현대화 시도와 자력갱생의 한계
1) 현대화된 의료 시스템 구축 시도
2) 보건의료 체계 개편 시도: 자력갱생의 한계
6 | 결론
Part 4 국제사회 지원과 건강 | 임소진
1 | 국제사회의 원조지원에 대한 이해
2 | 국제사회의 대북 원조지원
1) 러시아(구소련)와 중국
2) 국제기구
3) 유럽연합
4) 미국
5) 일본
6) 한국
7) 그 외 공여국들
8) 비정부기구
3 | 결론 : 국제사회의 대북지원과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