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글
프롤로그 엄마와 나는 물에서 새롭게 만났다
오춘실의 봄
2020년 종로 “독하니까 먹고 살았쟈!”
2020년 종로 “내가 알아.”
1978년 영등포 “두근두근해.”
2021년 마포 “오춘실의 세상이네.”
2021년 마포 “추워서 허리가 땡겨.”
2021년 마포 “처음 들어왔을 땐 여기가 뛰었어.”
1984년 안양 “좋으니까 살았겠지.”
오춘실의 여름
2021년 마포 “어디가 아프셔?”
2021년 마포 “요즘은 수영하는 게 제일 즐거와.”
1985년 안양 “내가 좋아서 선택한 거니까 쪽이 못 난 거야.”
1985년 안양 “우리 딸은 아버지 없이 키우고 싶지 않았지.”
2022년 마포 “그거 하기 싫여.”
2022년 마포 “이미 먹은 물은 어쩔 수 없어!”
2022년 마포 “몰라. 저절로 됐어.”
1993년 안산 “그 인간도 곱게 죽진 못했을 거야.”
2022년 종로 “평발이라고 못 한 거 없어!”
1998년 안산 “40대 땐 샛노랬어.”
1998년 안산 “그때 그 냄새가 나.”
오춘실의 가을
2023년 마포 “사람 없어 좋다.”
2023년 마포 “행복이 별건가요.”
2002년 안산 “자존심으로 산 거야.”
2023년 송파 “원래 첫술에 배부른 거 아닌겨.”
2005년 안산 “내가 정말 대단한 사람이야?”
오춘실의 겨울
2024년 마포 “물에 떠다니면서 이 사람 만나고 저 사람 만나고 좋잖어.”
2024년 중구 “재밌게 살아. 인생은 재밌게 사는겨.”
2015년 안산 “걔도 사정은 있어.”
2024년 마포 “여자라고 우습게 보는 거야.”
2024년 마포 “오늘도 시간 잘 갔다.”
2024년 종로 “나 가면 하나님이 그럴까. 우리 춘실이 잘 왔다.”
2024년 마포 “예전의 춘실이가 아니야.”
에필로그 먼 곳을 돌아 이 모든 이야기가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