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머리말
프롤로그: 수업의 성찰, 혁신의 시작 - 수업혁신사례연구대회
Chapter 01. 수업혁신사례연구대회 완전 해부
1. 수업혁신사례연구대회란 무엇인가?
가. 수업혁신사례연구대회 소개
나. 대회의 목적과 의의
다. 대회의 변화 흐름 읽기
라. 대회 운영의 구조
마. 연간 추진 일정
2. 수업혁신사례연구대회 어떻게 참여할까?
가. 연구 영역과 참가 형태
나. 출품 조건과 유의 사항
다. 심사 기준 및 배점
라. 등급 산정 방식 및 비율
마. 시상 및 후속 지원 체계
바. 제출 자료 및 방법, 유의 사항
Chapter 02. 떡잎부터 남다른 연구 방향 설정
1. 주도적인 연구 환경 설계
가. 담임교사가 유리한가요? 교과전담교사가 유리한가요?
나. 어느 학년이 연구하기에 유리한가요?
다. 교과, 창체, 융합 영역 중 어느 영역이 유리한가요?
라. 교과, 창체, 융합 영역을 어떤 기준으로 선택해야 할까요?
마. AI·에듀테크 활용 관련 교원 역량 자가 진단으로 연구 환경 분석하기
2. 최신 교육 트렌드 분석 및 반영
가. 교육부 누리집 정책 주요 업무 추진 계획 분석을 통한 연구 방향 시사점
나. 교육부 및 시·도 교육청 연구대회 목적 분석을 통한 연구 방향 설정
다. 전년도 전국 1등급 연구 결과 분석을 통한 연구 방향 설정
라.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강조되고 있는 교육 이론을 반영한 연구 방향 설정
마. 에듀넷, 함께학교, 지식샘터 등을 활용한 연구 방향 설정
3.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 특성 분석 및 반영
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 내용 및 연구 방향 시사점
나. 교과 교육과정 주요 내용 및 연구 방향 시사점
4. 학습자 특성 분석 및 반영
5. 선행 연구 분석의 목적 및 필요성
Chapter 03. 심사위원 사로잡는 연구 제목
1. 주목받는 연구 제목의 조건
Chapter 04. 설득력 있는 연구 계획서 작성법
1. 탄탄한 연구 설계
가. 연구 설계 과정
나. 연구 방향 설정 및 연구 제목 점검
다. 연구 설계의 핵심 요소
라. 연구 설계 요소의 개조식 정리 방법 (예) 보고서 ⑤
2. 흔들리지 않는 연구 계획서 작성법
Chapter 05. 연구 보고서 구성 전략
1. 연구 보고서 완전 정복
2. 보고서 개요 작성
Chapter 06. 연구 보고서 단계별 작성 가이드
1. 연구 보고서 1단계 - 시작
가. 연구의 필요성
나. 연구의 목적
다. 용어의 정의
2. 연구 보고서 2단계 - 준비
가. 이론적 배경
나. 선행 연구 분석
다. 실태 조사
라. 연구 대상 및 효과성 검증 계획
마. 연구 조망도
바. 여건 조성
3. 연구 보고서 3단계 - 실행
가. 프로그램 설계
나. 프로그램 실행
다. 연구 일반화
4. 연구 보고서 4단계 - 결과
가. 연구 검증 방법
나. 양적 검증
다. 질적 검증
라. 연구 결론 및 제언
Chapter 07. 의미 있는 부록 작성 노하우
1. 교수·학습 과정안
가. 교수·학습 과정안 차시 선정
나. 핵심 요소별 작성 요령
2. 수업 일지
3. 기타 자료
Chapter 08. 한눈에 파악하는 요약서 작성법
1. 요약서 작성 요령
가. 언제 작성할 것인가?
나. 어떠한 항목을 넣을 것인가?
다. 분량 배분을 어떻게 할 것인가?
라. 디자인은 어떻게 할 것인가?
2. 요약서 예시 분석
Chapter 09. 1등급 연구 보고서를 완성하는 보고서 편집 전략
1. 분량 배분 전략
2. 문서 디자인 전략
가. 제목 및 소제목 체계화
나. 통일성 있는 서식
다. 강조와 절제
라. 시각 자료의 전략적 활용
3. 자료 정리 전략
가. 학생 결과물 정리
나. 교사 및 학생 소감문 배치
다. 수업 자료 및 활동지 정리
라. 자료 제시 방식의 전략화
마. 자료 정리의 기술적 기준
4. 사진 첨부 전략
가. 의미 있는 수업 장면 선정
나. 본문 흐름과의 연계성 확보
다. 시각 자료의 이해를 돕는 캡션 활용
라. 흑백 인쇄를 대비한 자료 구성
마. 편집 도구 활용 팁
Chapter 10. 생생하게 담아내는 수업 동영상 촬영법
1. 사전 준비 단계
가. 수업 동영상 심사 기준 및 제출 방식 확인
나. 연구의 핵심을 보여 줄 수 있는 차시 선정
다. 촬영 기기 및 촬영 방법 결정
라. 에듀테크 도구 활용을 위한 반복 연습
마. 온라인 공개 수업 흐름 사전 학습
바. 연습용 수업 사전 촬영
2. 수업 동영상 촬영 단계
가. 수업 전 체크!
나. 촬영 위치 및 각도 설정
다. 학생 자리의 전략적 배치
라. 에듀테크 활용 수업의 돌발 상황 대비
마. 실수 상황에서의 침착한 대응
바. 수업 공개 고려
3. 수업 동영상 편집 및 요약 단계
가. 편집 프로그램 선정
나. 자막 삽입
다. 클로즈업과 줌인 기능 활용
라. 음량 조절
마. 요약 영상 제작
바. 교수·학습 과정안과 수업 동영상 일치 확인
4. 실전 팁
가. 촬영 및 편집에 큰 부담을 갖지 말자
나. 수업 동영상 촬영은 늦어도 6월 중순까지 완료해 두자
다. 공개 수업마다 수시로 녹화하는 습관을 들이자
라. 초상권 동의서는 미리 받아두자
Chapter 11. 연구대회 타임라인: 연구대회 선택부터 제출까지
1. 프롤로그: 연구대회 선택
2. 2~3월: 연구 기반 구축
3. 4~6월: 연구의 실행과 기록
4. 7~9월: 출품과 전국대회 준비
Chapter 12. 사례로 만나는 현장실사 속으로
1. D-day 1.2.3. PLAN으로 수학의 H.I.M.(힘) 기르기 현장실사
2. 학생 맞춤 책GPT 생생 프로그램으로 MIRRAE 시민역량 기르기 현장실사
3. 스토리 기반 국제공동 WORLD 프로젝트로 영어 핵심역량에 날개 달기
Chapter 13. 시·도 대회 3등급, 전국 1등급 보고서로 재탄생하다
1. HI-COSE 프로그램으로 ON 시민 되기
2. D-day 1.2.3. PLAN으로 수학의 H.I.M.(힘) 기르기
3. 스토리 기반 국제공동 WORLD 프로젝트로 영어 핵심역량에 날개 달기
4. 학생 맞춤 책GPT 생생 프로그램으로 MIRRAE 시민역량 기르기
5. 학생 맞춤형 C.H.A.T. 과학 수업으로 협력적 소통 역량 기르기
Chapter 14. (실전편) 쉽고 간단하게 연구 계획 수립하기
1. 나의 연구 계획 수립하기
2. 주목받는 연구 제목 정하기
3. 탄탄한 연구 설계하기
Chapter 15. (실전편) 수업 속 에듀테크 활용 전략
1. AI·에듀테크 선정 기준
2. 수업 단계별 AI·에듀테크 적용 사례
가. 도입 단계
나. 전개 단계
다. 정리 단계
3. 나만의 에듀테크 선정 기준 설정
Chapter 16. 체크리스트로 완성하는 1등급 연구 비법
1. 한눈에 보는 연구 계획서 필수 점검표
2. 1등급을 향한 시기별 연구 실천 나침반
3. 완벽 제출을 위한 최종 점검 가이드
Chapter 17. Q&A로 알아보는 수업혁신사례연구대회
1. 사소하지만 많은 도움이 되는 연구대회 Q&A
맺음말: 수업혁신사례연구대회, 그 이상의 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