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우리는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다
이야기가 우리의 정체성을 만든다
불행을 이야기하는 사람들
절망의 이야기는 자기파괴적이다
이제는 ‘다르게’ 이야기해야 할 때
‘다른’ 이야기를 위한 실험 1
2. 정치적이고 편파적인 이야기들
뉴스는 ‘선택된’ 소식들만 보여준다
단편적이고 획일적인 ‘이야깃거리들’
뇌는 때로 뉴스와 현실을 구분하지 못한다
개개인을 익명의 집단으로 기술하는 뉴스들
전통적인 이야기 방식에서 벗어나는 법
영웅 서사에 기대는 사람들
피가 흐르면 톱기사가 된다
한쪽으로 치우친 기사를 쓰는 이유
우리는 느리고 점진적인 진보에 주목하지 않는다
뉴스는 오류 보고서인가
‘다른’ 이야기를 위한 실험 2
3. 우리는 얼마나 나쁜 이야기에 굶주려 있는가
무력감을 가르치는 이야기 전달 방식
감정의 결여는 모든 감정 중 가장 위험한 감정
우리는 얼마나 나쁜 이야기에 굶주려 있는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감정은 전염된다
세계에 대한 새로운 지도를 그려야 할 때
심리적 보호복이 되어주는 낙관론
‘다른’ 이야기를 위한 실험 3
4. 방향을 제시하는 이야기가 필요한 순간
건설적 저널리즘을 위한 제안
문제 ‘이상’의 것을 보는 훈련이 필요한 때
모든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할 수는 없다
이상적 상태란 최종 목표가 아니라 나아가야 할 방향이다
‘다른’ 이야기를 위한 실험 4
5. 다른 이야기를 쓰기 위한 첫걸음
적절한 질문을 던지는 데서부터 시작하라
앞서간 이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자
과거의 성과로부터 배우는 법
이미 변화의 첫걸음을 뗀 이야기에 주목하라
이상적인 미래를 그려보는 일의 중요성
현실을 변화시키려면, 관점을 먼저 바꿔야 한다
변화는 결국 자신에게서 시작된다
‘다른’ 이야기를 위한 실험 5
6. 나쁜 소식은 이야기의 끝이 아니라 시작에 불과하다
‘대안이 없다’는 생각을 깨뜨리는 법
옳고 그름을 너무 쉽게 판단해서는 안 되는 이유
더 나은 질문이 더 나은 대답을 이끌어낸다
우리에게는 서로 이야기를 나눌 시간이 필요하다
변화와 진보는 아래로부터 시작된다
나쁜 소식은 이야기의 끝이 아니라 시작에 불과하다
‘다른’ 이야기를 위한 실험 6
7. 세상을 보는 방식이 바뀌면, 세상도 바뀐다
찾고자 해야 찾을 수 있다
세상을 보는 방식이 바뀌면, 세상도 바뀐다
일상에서 이야기를 변화시키는 법
이야기의 흐름을 바꾸는 건 결국 ‘질문’이다
‘다른’ 이야기를 위한 실험 7
8. 우리는 거의 모든 것에 대해 잘못 알고 있다
뇌는 너무 많은 위험을 인식한다
우리는 거의 모든 것에 대해 잘못 알고 있다
세상은 분명 점점 더 나아지고 있다
우리에게 이정표가 필요한 이유
우리의 인식이 현실을 만든다
‘다른’ 이야기를 위한 실험 8
9. 우리는 혼자가 아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첫걸음을 내디디는 것
때로는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야 한다
우리는 혼자가 아니다
어떤 미래에 살고 싶은지 묻는다면
에필로그: 두려움이 우리를 용기 있게 만든다
역자후기: 당신이 읽는 것이 당신이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