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이 책의 요지를 먼저 살펴보고 싶은 독자를 위해
1장 | 머리말
1. 연구의 목적과 방향
2. 이 책의 구성을 살펴보면
2장 | 한국선도의 홍익인간사상과 홍익정치 전통
1. 한국선도의 성통·공완론에 기반한 홍익인간사상
2. 한국 상고·고대사 속의 홍익정치 전통
3장 | 1910∼1920년대 대종교의 성통·공완 실천과 홍익정치론의 토대 마련
1. 구한말 선도문화의 부활과 대종교 중광
2. 대종교의 성통·공완 실천
4장 | 1930∼1940년대 대종교계 선가들의 홍익정치론 모색과 전개
1. 홍익정치론 등장의 시대적 배경
2. 정인보의 ‘홍익인간사상’과 홍익정치론의 모색
3. 안재홍의 ‘신민주주의’와 홍익정치론의 전개
5장 | 1930∼1940년대 조소앙의 ‘삼균주의’와 홍익정치론의 구체화
1. 삼균주의의 사상 기반에 대한 선행연구의 한계: 한국선도 전통의 몰이해
2. 삼균주의의 사상 기반, 한국선도
3. 삼균주의와 홍익정치론의 구체화
6장 | 광복 이후 삼균주의의 계승과 발전
1. 삼균주의 적용의 한계와 ‘홍익교육’의 중요성
2. 현대 한국사회의 선도와 홍익교육의 진전
3. 홍익교육에 기반한 삼균주의의 미래
7장 |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