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01 개념기반 교육과정의 이해
01. 왜 개념기반 교육과정인가?
02. 개념기반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03. 전통적 교육과정과의 차이점
04. "개념"과 "일반화"의 의미와 역할
05. 구성주의와 인지 심리학적 기반
06. 주요 이론가들의 견해: 린 에릭슨, 래닝, 제이콥스 등
07. 국제적 적용 사례: IB, 핀란드, 싱가포르 등
08. 한국 교육과정의 변화와 개념기반 접근
09. 개념기반 교육의 효과와 가치
10. 현장의 오해와 걱정: 자주 묻는 질문에 답합니다
11. 이해 중심 교육을 향하여
Chapter 02 개념기반 탐구 수업의 첫 걸음 : 단원 설계
01. 개념기반 단원 설계의 의미와 역할
02. 개념기반 단원 설계의 흐름과 절차
03. 현장 적용의 어려움
04. 개념 중심 단원 설계에 ChatGPT 활용하기
05. 활용팁과 유의사항
Chapter 03 개념기반 단원 설계 11단계 개요
01. 1단계: 단원명 정하기(초점 혹은 맥락)
02. 2단계: 개념적 렌즈 파악하기
03. 3단계: 단원 스트랜드 파악하기
04. 4단계: 스트랜드별 소재와 개념 연결하기(단원 그물망 작성)
05. 일반화 진술 작성하기(핵심 개념 이해 진술)
06. 6단계: 안내 질문 만들기
07. 7단계: 중요한 내용 파악하기(학생들이 알아야 할 것)
08. 8단계: 핵심 기능 파악하기(학생들이 할 수 있어야 할 것)
09. 9단계: 최종 평가 및 루브릭 작성하기
10. 10단계: 학습 활동 설계하기
11. 11단계: 단원 개요 작성하기
Chapter 04 1단계 : 단원명 정하기(초점 또는 맥락 설정)
01. 교과서 단원명 확인하기
02. 교육과정 성취기준 확인하기
03. 개념과 일반화 추출
04. 단원명 선택하기
◾ 단원정리
Chapter 05 2단계 : 개념적 렌즈 파악하기
01. 개념적 렌즈의 정의와 예시
02. 개념적 렌즈의 종류
03. 개념적 렌즈 추출
04. 개념적 렌즈 단계 일괄 추출과 선택
◾ 단원정리
Chapter 06 3단계 : 단원 스트랜드 파악하기
01. 스트랜드(strand)의 개념과 역할
02. ChatGPT를 활용한 스트랜드 추출 방법
03. 단원 스트랜드 최종 구성 예시
04. 수업 설계에의 시사점
◾ 단원정리
Chapter 07 4단계 : 스트랜드 내에서 단원 소재와 개념 엮기
01. 스트랜드 내 세부 주제와 관련 개념 찾기
02. 마인드맵으로 시각화하기
◾ 단원정리
Chapter 08 5단계 : 일반화 작성하기
01. 일반화의 개념과 중요성
02. ChatGPT를 활용한 일반화 문장 생성 방법
03. 일반화 문장의 개수 조절 및 난이도 검토
04. 일반화 문장의 유형 분류와 활용 방법
05. 교사가 고려해야 할 실천 팁
◾ 단원정리
Chapter 09 6단계 : 안내 질문 만들기
01. 안내 질문 만들기: 개념기반 단원 설계의 이론과 실천
02. 안내 질문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03. 안내 질문의 유형과 이론적 배경
04. 안내 질문과 일반화 문장의 연계
05. ChatGPT를 활용한 안내 질문 생성 절차
06. ChatGPT 응답 확인 및 수정
07. 프롬프트 설계 전략과 예시
08. 질문의 질을 높이기 위한 수정 및 예상 답변 확인
09. 수업과 평가에서 안내 질문의 활용
◾ 단원정리
Chapter 10 7단계 : 중요한 내용 파악하기
01. "중요한 내용"의 정의 및 교육적 의미
02. 일반화, 안내 질문, 단원 스트랜드와의 연계 구조
03. 중요한 내용을 선정하는 세 가지 관점
04. ChatGPT를 활용한 "중요한 내용" 추출 전략 및 프롬프트 설계
05. ChatGPT 응답 결과의 해석과 수업 설계에서의 활용 방안
06. 자료 활용하기
07. 질문 수준 조정 및 오개념 진단을 위한 피드백 전략
◾ 단원정리
Chapter 11 8단계 : 핵심 기능 파악하기
01. "핵심 기능"이란 무엇인가?
02. 교육과정 문서의 "과정·기능" 요소와 단원 설계
03. 단원의 "핵심 기능" 선별이 중요한 이유
04. ChatGPT를 활용한 핵심 기능 추출 방법
05. ChatGPT 프롬프트 작성: 단계별 예시 가이드
06. 교과별 ChatGPT 활용 예시
07. 프롬프트 작성의 핵심 원칙 정리
08. ChatGPT 결과의 수업 설계 활용: 다음 단계
◾ 단원정리
Chapter 12 9단계 : 총괄 평가와 루브릭 작성하기
01. 개념기반 총괄평가란?
02. 총괄평가 과제 설계를 위한 4가지 필수 정보 활용하기
03. ChatGPT를 활용한 개념기반 총괄평가 과제 생성 방법
04. GRASPS 틀로 수행평가 구상하기(ChatGPT 프롬프트 활용)
05. ChatGPT로 개념기반 루브릭 작성하기(4단계 성취수준 예시 포함)
06. ChatGPT 프롬프트 작성 유의사항과 교사의 최종 역할
◾ 단원정리
Chapter 13 10단계 : 학습 활동 설계하기
01. 활동 설계의 핵심 원칙
02. 단원 구조화 전략
03. ChatGPT를 활용한 활동 아이디어 생성
04. "소리" 단원의 주차별 활동 구성 예시
05. 학습 활동과 평가의 정합성 강조
06. ChatGPT를 활용한 지속적인 수업 개선
◾ 단원정리
Chapter 14 11단계 : 단원 개요 작성하기
01. 단원 개요의 필수 요소
02. ChatGPT를 활용한 단원 개요 작성 방법
03. 단원 개요 작성 예시
04. 마무리
◾ 단원정리
Chapter 15 개념기반 단원 설계 요약 및 예시
01. 예시: 초등학교 6학년 사회 「지구촌 갈등 사례
02. 전체 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