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제1부 근대 여성 교양으로서의 미용
제1장 단발에 매혹된 근대
제2장 현희운의 화장담론(化粧談論)
제3장 근대미용과 우생학
제2부 근대적 신체와 장소
제1장 운동회, 놀이의 근대성과 "몸"담론-김남천의 『대하』 연구
제2장 응접실, 접객(接客)공간의 근대화와 소설의 장소
-이광수의 『무정』과 『재생』을 중심으로
제3장 가정상비약, 총후보국(銃後報國)과 사적 간호의 확대
제3부 근대과학이라는 상상과 실재(實在)
제1장 실험실과 상상된 과학-이광수의 「개척자」 연구
제2장 기술자와 직업서사-김남천의 『사랑의 수족관』 연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