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상부소리의 녹음지역 〈그림 1 ~ 25〉
〈그림 26〉 섬진강 유역도 〈Figure 26 ~ 34〉
〈그림 27〉 전남 춤상여 녹음지역
〈그림 28〉 경남상부 때의 사용악기
〈그림 29〉 경남상부 때의 어룸소리 내지 평길운상소리
〈그림 30〉 경남상부 때의 달구소리 유형
〈그림 31〉 경남상부 달구소리 때의 딸꾸 형
〈그림 32〉 전남 약도와 괭이 가래, 달구소리 녹음 예
〈그림 33〉 전남 약도와 세마디 어노, 세마디 어(리)가리넘차
〈그림 34〉 서흥고개
2. 발인제(發靷祭) 전날(前日)부터의 풍속요(風俗謠)
2.1 관머리씻김소리, 밤달애
2.2 널 액막음소리, 천구축, 발인축 등
2.3 방밖으로의 운구소리, 내려놓기, 댓소리, 하직
3. 운상소리(평길, 오르막)
3.1 느린 가난보살
3.2 잦은 가난보살
3.3 춤상여 소리
〈표 1〉 전남 춤상여 받음소리의 특징과 게재 악보
3.4 세마디 어노 류와 네마디 에리가자 류
〈표 2〉 세마디 어노 류
〈표 3〉 담양군 칠전마을의 네마디 에리가자 류와 순창군
3.5 두마디 넘차 류
3.6 한마디 운상
3.7 반마디 운상
3.8 재우야
3.9 기타
4. 봉분 괭이소리와 가래질소리, 달구소리
5. 헛상여 소리, 상여 내릴 때
6. 초분 묘제
7. 진도 만가
〈표 4〉 진도만가 제보살〈진도상부 1②〉의 가사 붙임
8. 전남지방 상부소리의 특색
- 제2부. 전라북도의 상부소리 -
# 악보
# 첨부 USB 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