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세종,대전,충남))
1. 세종,대전,충청남도 상부소리의 녹음지역 〈그림 1 ~ 18〉
2. 장례일(葬禮日) 전(前)부터의 풍속요(風俗謠)
2.1 초혼, 반함
2.2 상여흐르기(대털이,걸거리), 혼령보내기
2.3 널 액막음소리, 발인축 등 〈표 1〉 널액막음 종별
2.4 방밖 운구
3. 하직인사, 운상(運喪)소리 〈표 2〉 충남지방 평길운상소리 받음구 예
〈그림 19 〉 충남지방 운상소리에서의 넘차 류 지역
〈표 3〉충남지방 반마디 운상소리의 받음구 예
4. 흙가래질소리
〈표 4〉 충남의 봉분 가래질소리
5. 달구질소리
6. 충남 무형문화유산 (제20호, 제23호) 〈표 5〉 공주시 봉현리 운상소리
7. 충남의 짝소리와 전남의 세마디 어노
〈그림 20〉 충남지방 약도와 짝소리 이념형의 녹음지역
8. 톱질 류 널액막음소리의 문화영역 〈그림 21〉
9. 채보 악곡의 음조직
10. 충남지방 상부소리의 특색
# 악보〈Scores〉
(제2부 : 충북)
# 악보〈Scores〉
# usb음원(21시간 여분) 첨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