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노동의 본질에 대해 먼저 생각해 보자
1 지금 하는 일을 평생 할 수 있을까?
시간당 임금은 ‘지각’에서 시작됐다
인간은 기계처럼 일할 수 없다
아침부터 일했는데 저녁부터 일한 사람과 같은 임금?!
임금의 공평함은 어디에서 오는가?
인간을 일하는 도구로 생각한다
최저임금법은 정말 노동자를 위한 것인가?
2 인간이 더 편하게 살기 위해 만든 법률이 아닌가?
‘십계명’은 인간의 삶과 맞닿아 있다
현대의 법은 지배를 목적으로 한다
사회에 적응하는 것은 생권력에 지배당하는 것이다
법치국가와 법치주의국가는 다르다
노동자가 인간답게 살 수 없는 현대사회
목소리를 내지 않는 것은 지배당하고 있다는 뜻이다
3 권위의 압박을 어떻게 견딜 것인가?
저항하는 게 귀찮으니까 복종하는 척?! 33
결과적으로 권력에 굴복한 소크라테스 34
권위의 억압에 반항하지 않는 사람들 35
쿠데타는 혼자서도 일으킬 수 있다 36
chapter 2 그 사람보다 낫다, 못하다 하는 것은 무슨 뜻일까
4 서민에게 클래식은 너무 부담스러운가?
소속된 계급에 따라 취미까지 정해져 있다
상류계급과의 차별을 만드는 아비투스
버버리는 왜 로열 브랜드가 되었나?
인간성이 아닌 속성으로 차별하는 사람들
5 차별의 감정은 어디에서 오는가?
‘상품의 차별화’에서 ‘차별’이 뜻하는 것
차별은 숨은 불안에서 나온다
유럽에서 보면 아시아는 미개하다?!
6 종교를 믿으면 평화가 올까?
종교도 차별화를 이용해 신자를 늘린다
믿는 사람이 많아진 뜻밖의 이유
‘예정설’에 의한 차별화
chapter 3 복잡한 인간관계 어떻게 마주할 것인가
7 자기답게라는 말은 무슨 뜻일까?
포도원 노동자들은 소외되었다
취업 준비 레이스에 지쳤다
정치도 아니고 시스템도 아니고 내가 문제다
8 열심히 했지만 아무 보상도 받지 못했는가?
꿈과 목표는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일 뿐
즐거움에서 소외되는 사람들
돈이 많이 드는 가짜 즐거움
자신을 위해 다른 사람을 이용하고 있지는 않은가?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을 방해하는 사회
9 자신을 해방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자본주의 노동자로부터의 탈출
젊은 마르크스는 공산주의 사회를 목표로 하지 않았다
10 나와 너, 우리의 거리는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
세상을 둘로 쪼갠 것은 자신이다
사회라는 관계망 속에서 사는 고통
얼렁뚱땅 놀기만 하는 나날을 보내고 있지는 않은가?
나와 너의 관계를 담고 있는 문학
부버의 나와 너의 관계
고대 로마인들의 집에는 신이 있었다
chapter 4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것은 왜 고통스러운가
11 아이돌을 덕질하는 것이 부끄러운 일인가?
우상의 시작은 단순하다
선전이 우상숭배로 이어지는 과정
아이돌 장사와 우상숭배
12 명품 가방에는 어떤 값어치가 있는가?
마르크스가 살던 시절의 쇼핑
브랜드라는 이름에 속아 넘어간다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모른다
우상 속에 갇혀 버린 우상숭배자들
13 행복과 건강을 기원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까?
신에게 소원을 비는 사전도 만들 수 있다!
신이 현실을 바꿀 수 있을까?
많은 것이 우상이 될 수 있다
언젠가는 무능해지거나 죽음을 맞게 된다
14 현대인은 왜 무한한 고독을 호소하는가?
소외는 사람을 죽음에 이르게 한다
내 안에 있는 아이돌의 매력
만약 의사가 우상숭배자라면?
15 사랑을 하면 왜 괴로운 것일까?
연애와 결혼으로 드러나는 인간 소외
연애가 힘든 진짜 이유
사랑받고 싶은 것은 자신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도겐의 세계론으로 보는 연애
사랑은 앎을 통해 이루어진다
chapter 5 인생의 성공은 누가 결정하는가
16 지금의 상황을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열쇠를 부수고 손잡이를 당겨라
성공은 꼭 해야만 하는 것인가?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더 크다
공포가 만들어 내는 동조 심리에서 파시즘으로
17 인생이 항상 불안정하고 불안한가?
불안정하고 안전하지 않은 삶이 건강한 삶이다
자유로운 인간이 되는 것
18 사후에도 영혼은 계속 살아 있을까?
죽음과 잠은 같은 것일까?
‘나’는 죽는다
사후 세계는 정말 존재할까?
현실 사회에서의 삶을 무시한다
지금을 살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