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을 대신하여 ; 왜 철학은 반란인가? 5
Ⅰ. 한국과 한국인 비판 10
1. 한국인들의 무례 12
2. 한국인들의 불행 16
3. 한국인들의 거짓말 22
4. 한국인들과 칭찬 26
5. 한국인들의 극단적 사고 30
6. 한국인들과 종교 34
7. 한국인들의 자기감정 41
8. 한국인들과 공부 46
9. 한국인들의 서구 콤플렉스 51
10. 조선과 북한의 ‘초록이 동색’ 62
11. 획득형질이 유전되는 괴이한 사회 67
12. 어떻게 일으켜 세운 나라인데 75
13. 사랑은 아무나 하나? 80
Ⅱ, 해석과 비판 86
1. 언필칭 K-Philosophy가 존재하는가? 88
2. 최근의 한류 현상을 둘러싼 논쟁 비판 93
3. 한류 현상과 인문학 97
4. 인문학의 위기 담론 비판 100
5. 주입식 암송교육과 사대주의 106
6. 이어령 교수의 〈제망매가〉 해석에 대한 비판 110
7. 송재윤 교수의 주자학적 관념성 비판 116
8. 이 한우의 논어 강의 비판 119
9. 신영복 선생의 “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의 해석에 대한 비판 124
10. 우물안 개구리와 조선의 선비들 133
11. 뉴라이트의 열등 심리학과 컴플렉스 137
12.김상봉 선생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신학』 출간과 〈한겨레〉 인터뷰 139
13. 칸트와 이승만 145
14. 박정희의 5.16, 혁명인가 쿠데타인가? 152
15. 김훈과 김민웅 둘 다 틀렸다. 156
Ⅲ, 철학과 사상 비판 162
1. 포이어바흐의 기독교 비판에 대한 재비판 164
2. 헤겔과 청년 마르크스의 철학관 169
3. 한글 유감 173
4. 한국인의 사유와 일본인의 사유의 차이와 비판 177
5. 문제는 악의 평범성이 아니다. 182
6. 개인의 자유와 서구의 몰락 187
7. 공자와 나이 191
8. 향원은 덕의 적이다(鄕愿,德之賊也) 198
9.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202
10. 돈오돈수(頓悟頓修) 인가 돈오점수(頓悟漸修) 인가? 206
저자 프로필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