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우리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제1장 빅뱅으로 시작된 우주
KEYWORD│무질서한 혼돈에서 시작된 세상│지구가 중심이었던 고대 우주론│지구의 움직임을 입증한 근대 우주론│정적 우주 vs. 팽창 우주, 현대 우주론│빅뱅의 구성 요소, 골디락스 조건 그리고 새로운 복잡성│첫 번째 임계국면, 빅뱅│핵심 요약
제2장 우주를 밝히고 데운 별
KEYWORD│밤하늘에 새겨진 신과 인간의 이야기│은하수의 정체를 밝힌 최초의 과학자│탄생과 죽음을 반복하는 별│비슷해 보이지만 서로 다른 별│숨 쉬게 만드는 별, 태양의 탄생│태양이 지구를 위협하는 방법│별 탄생의 구성 요소, 골디락스 조건 그리고 새로운 복잡성│두 번째 임계국면, 별의 탄생│핵심 요약
제3장 만물의 재료인 원소
KEYWORD│원소의 이름이 된 신│가장 많지만 희귀한 최초의 수소│물의 기원과 산소 대폭발│모든 생명체를 이루는 탄소│생명체의 씨앗을 퍼뜨리는 초신성│계속 채워지고 있는 주기율표│원소 탄생의 구성 요소, 골디락스 조건 그리고 새로운 복잡성│세 번째 임계국면, 원소의 탄생│핵심 요약
제4장 우리의 터전인 지구와 달
KEYWORD│지구와 달이 탄생한 오래된 이야기│평평한 지구에서 둥근 지구로│태양에서 해왕성까지, 태양계의 탄생│지금과는 달랐던 원시지구│45억 년을 함께하는 지구와 달│지구를 벗어나 달에 이르기까지│지구와 달 탄생의 구성 요소, 골디락스 조건 그리고 새로운 복잡성│네 번째 임계국면, 지구와 달의 탄생│핵심 요약│우주의 연표
제5장 최초의 생명체와 진화
KEYWORD│모든 존재를 연결하는 위그드라실│최초의 생명체를 만든 바닷속 뜨거운 구멍│고대부터 존재했던 철학자의 진화론│찰스 다윈의 자연선택│다섯 번의 대멸종│생명체 탄생의 구성 요소, 골디락스 조건 그리고 새로운 복잡성│다섯 번째 임계국면, 생명체의 탄생│핵심 요약
제6장 집단학습으로 생존한 현생인류
KEYWORD│인간을 세상의 중심으로 그린 오래된 탄생 신화│모든 생명체와 조상을 공유하는 인류│두 발로 걷기 시작한 루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불을 사용하기 시작한 호모 에렉투스│지구 전체로 퍼져 나간 호모 사피엔스│계속되는 진화론 vs. 창조론│현생인류 등장의 구성 요소, 골디락스 조건 그리고 새로운 복잡성│여섯 번째 임계국면, 현생인류의 등장│핵심 요약│생명체의 연표
제7장 가장 오래된 생활 방식, 수렵채집
KEYWORD│알타미라 동굴에 그려져 있는 화려한 벽화│올두바이 협곡에서 발견된 수십 종의 도구│정교했던 호모 사피엔스의 도구│호모 사피엔스가 멸종시킨 수많은 대형동물│인류가 만든 최초의 예술 작품│사후 세계에 대한 믿음의 시작│수렵채집 시작의 구성 요소, 골디락스 조건 그리고 새로운 복잡성│일곱 번째 임계국면, 수렵채집의 시작│핵심 요약
제8장 자연을 길들이고 사회를 분화한 농경
KEYWORD│신에게 배운 농경│최초로 길들인 야생동물과 야생식물│철제 무기가 가져다준 강력한 전투력│농기구의 발전으로 늘어난 농산물 생산량│사회 구조를 바꾼 잉여생산물│최초로 세워진 도시와 국가│농경 시작의 구성 요소, 골디락스 조건 그리고 새로운 복잡성│여덟 번째 임계국면, 농경의 시작│핵심 요약
제9장 제국으로 연결된 세계
KEYWORD│왕권을 정당화한 제국의 건국 신화│제국과 함께 등장한 실크로드│실크로드로 전역에 퍼진 치명적인 전염병│콜럼버스의 항해가 초래한 제국의 몰락│제국과 글로벌 네트워크 출현의 구성 요소, 골디락스 조건 그리고 새로운 복잡성│ 아홉 번째 임계국면, 제국과 글로벌 네트워크의 출현│핵심 요약
제10장 현대 사회를 만든 산업화
KEYWORD│소빙기로 시작된 산업화│새롭게 찾은 연료, 석탄│증기기관차와 대륙횡단철도│철제 증기선과 유럽의 패권│대량생산과 대량소비의 시대│산업화 시작의 구성 요소, 골디락스 조건 그리고 새로운 복잡성│열 번째 임계국면, 산업화의 시작│핵심 요약
제11장 우리의 숙제, 인류세와 미래 사회
KEYWORD│인류가 만든 최초의 대량 살상 무기│빠르게 뜨거워지는 지구│인류세로 시작된 여섯 번째 대멸종│가까운 인류의 미래│달라질 지구와 우주의 모습│공존을 촉구하는 빅히스토리│핵심 요약│인류의 연표
나가는 말│우리는 어떤 존재가 될 것인가
더 읽을거리
그림, 사진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