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들어가며: 별에서 왔고, 별로 돌아갈 당신에게
천문학을 읽기 위한 첫 지도
1부 가장 먼저 만나는 우주, 태양계
태양계를 구성하는 것들: 1개의 항성과 8개의 행성
모든 것은 태양에서 시작되었다: 태양계의 유일한 항성
우주에도 날씨가 있다: 오로라가 그리는 빛의 커튼
태양계에서 가장 작은 행성: 작지만 가장 뜨거운 곳, 수성
반짝반짝 빛나는 지구의 쌍둥이: 이산화탄소로 가득한 금성
창백한 푸른 점: 우리의 고향, 생명으로 가득한 지구
인류가 방문한 유일한 다른 세상: 지구의 유일한 위성, 달
화성에는 외계인이 있을까?: 우주 생명체를 찾는 화성 탐사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 행성들의 제왕, 목성
아름다운 모자를 쓴 행성: 태양계에서 두 번째로 큰 토성
삐딱하게 기울어진 행성: 독득한 자전축을 가진 천왕성
외딴곳에 위치한 청록색 행성: 태양계의 막내가 된 해왕성
더 이상 ‘행성’이 아니다: 명왕성의 새로운 이름
하늘을 가로지르는 한 줄기 빛: 오랜 시간 관측되어온 혜성
별똥별에 소원을 빌면 이루어질까?: 우주의 유물, 운석과 유성
태양계를 떠다니는 작은 조각별: 초기 성운과 행성의 파편, 소행성
2부 태양계 너머의 광활하고 놀라운 세상
태양계 바깥에 다른 태양이?: 스스로 발광하는 별, 항성
별은 어디에서 탄생했을까?: 성간 구름과 별 탄생의 비밀
별은 어떻게 나이들고 소멸하는가: 항성의 마지막 순간, 초신성
시공간이 뒤틀리는 블랙홀의 비밀: 강력한 중력이 만들어낸 별의 무덤
하늘을 수놓는 아름다운 별의 무리: 구상 성단과 산개 성단
별들이 사는 도시와 마을: 우주를 만들어내는 은하들
은하는 영원히 존재할까?: 우주 탄생부터 별 무리 형성까지
우리은하 자세히 들여다보기: 온 우주에 하나뿐인 우리의 고향
어마어마한 활동량을 자랑하는 괴물: 강력한 빛을 방출하는 퀘이사
밝혀지지 않은 가장 미스터리한 물질: ‘암흑 물질’이라는 놀라운 세계
천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법: 기준별을 잡고 밝기 비교하기
자연이 만들어낸 왜곡된 망원경: 중력 렌즈 현상이 발생하는 원리
모든 것은 대폭발로부터 시작되었다: 거대한 우주의 탄생, 빅뱅
웜홀은 정말 존재할까?: 공상과학 속 상상 VS 현실 우주의 구조
우주에서 외계인을 만날 확률: 드레이크 방정식과 SETI 연구소
3부 천문학의 흐름을 바꾸고 놀라운 업적을 남긴 인물들
천문학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우주에 대한 인류의 끝없는 열정
천문학의 아버지, 코페르니쿠스: 세상의 진리를 뒤집다
관측의 귀재, 갈릴레오 갈릴레이: 목성의 위성을 발견하다
행성 운동 법칙과 요하네스 케플러: 별의 목록을 작성한 천재 과학자
과학계의 거인, 아이작 뉴턴: 물리학과 천문학의 판도를 바꾼 천재
천문학에 일생을 바친 허셜 가: 윌리엄, 캐럴라인, 존 허셜의 삶
변광성을 연구한 헨리에타 스완 레빗: 거리 측정의 단서를 찾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중력 연구: 상대성 이론의 창시자
우주팽창설의 아버지, 에드윈 허블: 빅뱅 이론의 기초를 다지다
명왕성을 발견한 클라이드 톰보: 별을 꿈꿔온 몽상가
은하의 회전을 연구한 베라 루빈: 암흑 물질의 증거를 찾다
‘펄서’를 발견한 조슬린 벨 버넬: 노벨상을 놓친 전파천문학자
명왕성 킬러, 마이크 브라운: 행성의 기준을 다시 세우다
4부 우주를 떠다니는 망원경과 끊임없이 변화하는 천문학의 내일
천문학의 두 갈래: 관측천문학 VS 천체물리학
미지의 영역, 우주생물학: 존재할지 모를 이웃을 찾아서
행성과학의 놀라운 세계: 다른 행성은 어떤 진화 과정을 거쳤을까?
망원경으로 과거도 볼 수 있다?: 우주의 타임머신, 망원경의 발전사
우주 관측의 터줏대감, 허블 우주망원경: 1990년부터 계속된 여정
‘빛나는’ 찬드라 엑스선 우주망원경: 우주의 엑스선을 정밀 관측하다
적외선 감지기, 스피처 우주망원경: 붉게 빛나는 우리의 우주
초강력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 고에너지 천문학의 선구자를 기리며
외계 지구를 찾아라, 케플러 우주망원경: 생명이 존재하는 행성 찾기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천문학: 끊임없는 관측과 탐구의 여정
나가며: 별을 보는 사람은 누구나 천문학자입니다
이미지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