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프롤로그- 대학도서관 사서(司書) 백린 이야기
제1부 평북 선천과 만주에서의 어린 시절
1. 백린의 고향 평안북도 선천
1) 역사 속 선천
2) 개화기 기독교 선교의 거점, 신교육과 항일(抗日)의 요람
2. 백린과 가족 관계
1) 3남 2녀의 장남, 백린
2) 선천에 대한 아련한 기억 조각
3. 만주에서 보낸 청소년기
1) 배고픔이 싫어 만주로 가출하다
2) 만주국에서의 학업과 취직
제2부 해방과 귀향, 그리고 서울 입성까지
1. 12년만의 귀향, 안봉선 열차를 타고 귀국하다
2. 낯선 고향, 혼란한 해방 정국
3. 서울, 제2의 삶의 터전이 되다
1) 가족과의 서글픈 재회
2) 개명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
3) 서울 적응기
제3부 서울대 도서관 사서 백린, 한국 전쟁서 고서를 지켜내다
1. 서울대 도서관 사서가 된 백린
1) 서울대 부속도서관 약사(略史)
2) 20대 중반에 서울대 도서관 사서가 되다
2. 전쟁의 한복판에서
1) 돈암동 집에서의 도피 생활
2) 서울 수복과 서울대 도서관의 참상
3. 부산으로의 국보급 고서 운송 작전
1) 잿더미가 될 뻔한 서울대 고서들, 그 긴박했던 순간들
2) 조선왕조실록을 피난지 부산으로 옮기는 실무 책임자
4. 부산에서의 고서 지킴이 생활
1) 부산에서의 고서 지킴이 생활
2) 전시연합대학 개강과 임시 도서관 개관
3) 아내 최선경과의 만남과 결혼
제4부 서울대 도서관 사서 최초로 사서 과장이 되다
1. 도서관 재개관의 일등공신 백린
1) 검은 먼지 뒤집어쓰고 도서정리를 하다
2) 꿈에서 찾은 규장각 현판
3) 분실된 장서각 소장 적상산 사고본 조선왕조실록의 행방
2. 도서관 재건 프로그램과 오스트볼트(Ostvold) 보고서
1) 서울대 도서관 재건 프로그램의 운영
2) 미네소타 대학 오스트볼트 도서관장의 보고서
3. 사서 백린의 역할과 공적
1) 대학도서관 최초 사서관이 된 백린의 도서분류와 도서기호 부여
2) 일본 반출 규장각 고서가 반환되기까지
제5부 연구하는 사서, 배움의 길은 끝이 없고
1. 만학도 백린, 도서관학 석사 학위를 받다
1) 늦깎이 대학생이 단국대 지리역사학과에 입학하다
2) 연세대 도서관학과와의 인연
3) 규장각 장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은 백린
4) 동학(同學)·동료(同僚)·지기(知己)들
2. 연구 사서로서의 백린의 학문적 성과
1) 49편의 소논문(학술기사)
2) 7종의 편·저서 개관
3) 규장각 도서 16만권을 집대성한 〈규장각도서한국본총목록〉의 집필과 편집
3. 국내 최초로 ‘한국 도서관사’를 저술하다
1) 백린이 밝힌 한국 도서관의 역사
2) 규장각과 장서각
3) 국내 최초의 근대 도서관
제6부 하버드대 옌칭 도서관 사서로서의 제2의 삶
1. 50세에 이룬 꿈과 새로운 꿈
1) 하버드대 옌칭 도서관에로의 파견 연수
2) 새로운 도전, 옌칭 도서관 사서가 되다
2. 옌칭 도서관 목록 사서로서의 헌신
1) 옌칭 도서관 한국학 서고의 초석을 놓은 선임 사서 김성하
2) 목록 사서로서의 일과 백린의 소신
3) 백린의 일상과 방문학자와의 교유
4) 박수칠 때 떠나라-사서로서의 마침표
제7부 보스턴 한인사회의 밀알이 되고자
1. 단국대 객원교수로 지낸 1년의 한국 생활
2. 보스턴 한인회와 한국학교를 위한 봉사
3. 연구 모임을 이끌고 재야 사학자로 활동하다
1) 연구 모임 진성회(眞誠會)의 결성과 고구려 역사연구회 조직
2) 갑신정변과 망명 한인 유학생을 조명하다
3) 재미(在美) 재야 역사학자로서의 백린
4. 보스턴 한인사회의 밑거름
에필로그 - 연구사서의 롤 모델이자 전설이 된 백린
[덧붙이는 글 1] 하버드대 옌칭 도서관 한국학 서고(Korea Collection)의 역사
[덧붙이는 글 2] 1950~60년대 옌칭 도서관의 한국학 서적 입수 과정과 제 풍경
참고문헌
부록
1. 백린 저작물 목록
2. 백린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