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서론
마을은 어떻게 형성되어 성장하는가|좋은 도시마을의 특성|도시마을의 차별성
《제1부 격자 블록과 세장(細長) 필지에 그려진 모던 유토피아》
제1장 보스턴의 비컨힐-백베이
다운타운 확장과 비컨힐 개발|비컨도로의 아테네움과 코플리스퀘어의 시립도서관-미술관|백베이의 매립과 격자 블록의 로우하우스|주택의 공공ㆍ상업화 그리고 공공건물의 민간 주택화
제2장 바르셀로나의 드레타 데 레이삼플레
시우타트 벨라의 도성 해체와 레이삼플레의 개발|카탈루냐 모더니즘과 디스코디아 블록 주택|박람회와 대중교통, 병원과 대학교, 플라자와 공원 그리고 마을시장|블록야드의 공공 공간과 슈퍼 블록의 보행 환경
제3장 도쿄의 긴자-마루노우치
에도마에지마 매립과 도산보리 상인 구역|긴자 대화재와 벽돌 건물, 간토 대지진과 철근콘크리트 건물|직주 분리의 노면 철도-지하철선, 신바시역, 긴자역 사거리|두 번의 올림픽, 대중교통체계, 구 건물과 신 건물, 보행자 천국
《제2부 스퀘어와 보행체계로 이어진 저층 주택과 고층 주거 타워》
제4장 런던의 블룸스버리
웨스트엔드와 블룸스버리|귀족의 이주와 가든스퀘어|테라스하우스와 조지안-빅토리안 건축 양식|대중교통과 가든스퀘어의 변화
제5장 필라델피아의 리튼하우스 네이버후드
네 개 스퀘어와 리튼하우스스퀘어|리튼하우스 로우와 드랜시플레이스|리튼하우스스퀘어 정비와 고층 건물 개발|저택의 공공기관화, 스퀘어의 보전, 고층 건물의 추가 구조
제6장 뉴욕의 그리니치빌리지
교외지의 황열병 피난처|크리스토퍼도로의 로우하우스와 워싱턴스퀘어의 주거지|대중교통체계와 임대 아파트|오래된 건물과 마을 정체성
《제3부 상가ㆍ학교ㆍ종교ㆍ복지시설의 보전과 재개발》
제7장 교토의 히가시야마
히에이산의 천태종과 히가시야마의 선불교|건식 정원과 차도|시라가와하천, 벚꽃나무, 버드나무|다카세가와운하와 기온, 미야가와초, 폰토초|카논덴 쇼인즈쿠리와 교마치야 도시 상업 주택
제8장 브뤼헤와 암스테르담의 베긴회수녀원 블록
저지대 도시의 자치 행정과 베긴회 수녀의 활동|마전터와 코트야드의 구호소|브뤼헤의 베긴회수녀원|암스테르담의 베긴회수녀원
제9장 서울의 명륜동-혜화동
성리학적 한양과 도교적 동촌|교육령, 학교, 지식인 커뮤니티|문화주택, 근대 한옥, 노면 전차|마을의 분화, 혜화동로터리, 다세대ㆍ다가구 주택과 아파트|서울대학교, 대학로, 소극장과 문화예술 대학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
총서 ‘知의회랑’을 기획하며
총서 ‘知의회랑’ 총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