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막 신앙과 민족 의식의 씨앗
1장 전라북도 무주에서의 시작 23
1절 혁명의 기억 속에서 태어난 신앙 23
2절 아버지 전일봉과 어머니 유종순 24
3절 초등학교 시절과 신흥고보 입학 27
2장 평생의 동반자를 만나다, 조금순 33
2막 일본 유학과 민족 해방에 대한 열망
3장 일본에서의 유학생활과 민족운동의 첫발 35
1절 고베 중앙신학교 입학과 적응 37
2절 민족 정체성 고취를 위한 노력 39
4장 투옥과 신앙의 시련 42
1절 일본 경찰의 체포와 재판 42
2절 후쿠오카 형무소에서의 감옥 생활 44
3절 우찌무라 간조와의 만남 48
4절 어머니 유종순의 기도와 헌신 52
5절 석방과 새로운 사명의 길 52
3막 해방 이후 신앙과 교육의 길을 찾다
5장 미군 통역관 시절과 새로운 기회 57
1절 미군 통역관으로서의 첫걸음 57
2절 통역관에서 유학생으로, 기회의 문이 열리다 60
6장 미국 유학과 교육 철학의 확립 63
1절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의 배움 63
2절 미국 사회에서 마주한 차별의 현실 65
3절 웨스턴 신학교로의 전환 67
- 미시간주 홀랜드에서 새로운 배움의 길을 찾다
7장 조국을 위한 선택, 6.25 전쟁과 귀국 결심 69
1절 졸업보다 중요한 사명 69
2절 졸업식 없는 졸업장 70
3절 조국을 향해 떠나다 72
4막 부산 복음진료소와 신앙을 통한 봉사
8장 피난민 구호와 복음진료소 설립 75
1절 복음진료소의 탄생 75
2절 복음 병원의 발전-차봉덕 박사와 장기려 박사 76
3절 피난민과 빈민을 위한 사랑의 의료 활동 78
9장 갈등과 이별, 그리고 다시 미국으로 80
1절 병원 운영권 갈등과 의혹 제기 80
2절 복음병원에서의 퇴진과 미국 유학 81
5막 다시 미국으로-신학과 교육 철학의 발전
10장 컨콜디아 신학대학원과 신학적 성장 87
1절 1만 달란트와 100 데나리온 87
2절 컨콜디아 신학대학원에서의 학문 탐구88
3절 신학을 통한 사회적 실천의 고민 90
11장 주여, 어디로 가서 무엇을 하오리까? 92
1절 순교 소식과 깊어지는 사명감 92
2절 산골로 가리라 93
6막 거창고, 폐허 속에서 피어난 기적
12장 폐허에서 희망을 보다 97
1절 귀국, 그리고 뜻밖의 제안 97
2절 거창고등학교를 인수하다 98
3절 거창고등학교 부임과 8명의 학생들 99
13장 가진 것 하나 없지만 104
1절 우산 쓰는 교실 104
2절 그래도 꾸는 꿈 104
3절 거창고, 기독교 학교로 다시 태어나다 111
4절 교장이 맨손으로 가르친 삶의 태도 112
14장 포기란 없다 - 교육과 삶의 가르침 115
1절 목발을 짚고도 완주해야 한다 115
2절 헌 코트를 입고 나타난 교장 116
3절 왜 예수를 믿습니까? 학생들과의 질의문답 117
15장 운영 정상화를 위한 고군분투 122
1절 나아지지 않는 재정난 122
2절 도움의 손길들 125
3절 신앙을 기반으로 한 재정 운영 철학 129
7막 교사 채용과 전영창의 고민
16장 전영창이 기다린 사람들 133
1절 거창으로 오지 않는 젊은이들 133
2절 교사 채용의 어려움과 험난한 면접 과정 135
8막 새벽별이 된 학교, 샛별초등학교의 탄생과 교육 실천
17장 샛별초등학교의 탄생과 그 이념 141
1절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한 교육의 시작 141
2절 전영창 교장과 홍종만 교감의 협력 142
18장 샛별의 교육적 가치와 창의적 학습 환경 145
1절 자유롭고 창의적인 교육 환경의 구현 145
2절 예술과 자연 속에서 배우는 인성 교육 146
9막 거창고등학교의 기독교 교육 실천
19장 신앙과 정의를 실천하는 교육 153
1절 신앙, 인격, 지식 - 인간됨을 위한 교육 153
2절 삶을 변화시키는 다섯 가지 가르침 159
3절 그의 삶에 이뤄진 용서 162
20장 직업 선택과 미래 비전 교육 163
1절 미국의 ‘땅콩 박사’ 조지 워싱턴 카버 163
2절 직업 선택의 십계명 제정 배경 166
3절 ‘국민이 주는 희망의 상’ 수상 169
10막 신념을 지킨 교육자의 길
21장 한국 사회와의 갈등과 교육자의 신념 175
1절 삼선개헌 반대와 교장직 파면 175
2절 법적 투쟁과 교장직 복귀 182
3절 유신 반대 192
11막 전영창, 신앙과 교육의 길을 걷다
22장 거창의 별이 지다 197
1절 Keo Chang High School Expansion Fund 197
2절 직업보도관과 담석증 204
3절 애도의 물결, 사랑의 재발견 206
12막 한국 교육에 남긴 빛
23장 신앙과 교육으로 남긴 유산 211
1절 샛별중학교의 설립 211
2절 전일봉 · 전영창 부자의 독립운동 공로와 건국포장 수여 211
3절 사랑과 정의의 길 215
24장 전영창 정신의 계승과 미래 교육의 방향 218
1절 민주시민 교육과 인성 함양의 유산 218
2절 기독교 가치관을 바탕으로 한 미래 교육의 필요성 219
- 부록 222
- 전영창 연보 229
- 참고자료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