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고화에 앞서 4
시작하며 - 책과 강좌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속독의 비밀 7
‘복이 참고 온다 견디면’ 9
감수자의 글 12
CHAPTER 1. 내용을 ‘알고 있어서’ 빨리 읽을 수 있다
SECTION 01. 왜 속독이 불가능할까?
기술(Skill)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25
내가 속독할 수 있게 된 진짜 이유 27
‘독서 습관’은 ‘속독 기술’을 이긴다 28
속임수에 속지 말자! 31
속독할 때 뇌는 어떻게 활동하고 있을까? 33
책이 아닌 머릿속의 정보를 읽고 있다 34
고속으로 정보를 입력(Input)해도 머리 회전은 빨라지지 않는다 38
SECTION 02. 속독에 대한 오해를 푼다
읽는 속도를 올려도 ‘속독’이라고는 할 수 없다 41
눈을 빠르게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42
한눈에 페이지 전체를 읽을 수 있게 되는 것은 아니다 45
글자를 소리 내어 읽는 버릇을 없앤다 48
‘이해하려고’ 하니까 느려진다 51
지금까지의 독서와는 읽는 방법이 다르다 53
SECTION 03. 속독 강좌에 다니지 않아도 된다
속독을 바로 체험해볼 수 있는 ‘유사 속독 훈련’ 58
‘속독 환상’에 돈과 시간을 낭비하지 말자! 60
어려운 문장은 빨리 읽을 수 없다? 62
속독 기술을 습득하는 열쇠도 지식 자본에 있다 65
속독법 개발자가 실시한 훈련법이란? 66
누구나 바로 실천할 수 있는 ‘고속 대량 회전법’ 69
CHAPTER 2. ‘고속 대량 회전법’으로 속독을 실현하다!
SECTION 04. ‘반복’한다는 발상이 모든 것을 해결한다
기존 속독법의 결점을 극복한다! 73
지식 자본의 축적이 중요하다 74
‘속독의 복리 효과’란 무엇인가 78
모르는 부분에 얽매이지 않는다 80
왜 누구나 바로 속독할 수 있는 것일까? 83
반복해서 읽는 편이 빠르다 84
고속 대량 회전법이 탄생한 계기는? 86
SECTION 05. 고속 대량 회전법의 2대 원칙을 이용하자!
제1의 원칙, 빨리 읽기 때문에 이해할 수 있다 88
정독보다 속독으로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이유 90
제2의 원칙, 첫 번째보다 두 번째 더 빨리 읽을 수 있다 93
어려운 시험에 단기간에 합격할 수 있었던 속독법 95
‘고속’과 ‘대량 회전’의 상승 작용 97
‘반복’으로 ‘이해하려고’ 하는 생각을 떼어놓는다 101
기술은 나중에 얻어진다 103
CHAPTER 3. 30분이면 어떤 책이라도 속독할 수 있다
SECTION 06. 제일 먼저 전체 구조를 파악한다
왜 30분인가? 107
책의 정보로 가득 차 있는 목차 109
우선은 목차를 2분간 열 번 회전! 111
‘이해하려고 하지 않고 보기’ 기술의 힌트 112
목차의 다음은 ‘들어가며·나오며’ 116
‘들어가며·나오며’도 읽지 않고 ‘보기’ 117
책을 ‘읽는다’라고 하기 위해서는? 118
SECTION 07. 대상을 추려서 쉽게 회전시킨다
본문은 장의 제목 골라 읽기부터 시작한다 120
두꺼운 책에도 금세 익숙해지는 읽기 방법 121
매일 아침 휘리릭 신문을 훑어보는 느낌으로 123
속독을 가속화하는 ‘책에 맞장구’ 124
전반 15분 동안에 책 전체의 구조가 보인다 127
후반 15분 동안 회전시키며 세부로 들어간다 128
‘전체’와 부분’을 항상 왕복 130
SECTION 08. ‘지금 이해한 내용’이 책의 전부는 아니다
속독이라는 읽기 방법, 이해 방법에 익숙해지기 위해 132
30분 만에 읽지 못하면 안 되는가? 133
‘잘 읽었다’라고 생각되는 책이란? 134
속독 후의 주의점 135
빠르게 읽어버린 책과도 오래 사귀자 137
소설도 속독할 수 있다 139
CHAPTER 4. 효율성을 지나치게 중시하는 ‘위험한 읽기 방법’
SECTION 09. 무엇이 속독을 망치는가
독서란 지식과 정보의 ‘다운로드’가 아니다 145
지식 자본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경제적’인 읽기 방법 147
비법은 ‘책을 읽고 있는 자신을 읽는다’ 150
속독의 약점도 지식 자본에 숨어 있다 152
사무적인 ‘간편한 속독법’ 153
‘간편한 속독법’ 그 까닭은? 155
SECTION 10. ‘착각 속독’과 포토리딩
궁극적인 다운로드 발상 156
고속 대량 회전법과 닮은 것 같지만, 전혀 다르다 158
포토리딩 강좌에서 목격한 것 161
‘착각 속독’을 탄생시키는 과정 162
이해와 착각은 종이 한 장 164
포토리딩도 지식 자본의 활용 167
이해, 기억에 필요한 것은 반복과 실패 168
‘정말로 도움이 되는 속독’으로 작업 교대(Shift Change) 170
SECTION 11. ‘검색 속독’과 레버리지 리딩Leverage Reading
읽는 목적이 명확한 독서의 위험성 172
왜 목적화해서는 안 되는가 174
비즈니스 서적을 여러 권 읽어도 몸에 배지 않았던 까닭 176
검색을 넘어선 속독을 목표로 178
저자의 세계로 빠르게 들어가기 위해서는 182
‘납치되는’, ‘연루되는’ 것이 독서의 묘미 184
독서에서 검색으로, 검색에서 독서로 186
CHAPTER 5. 속독이 책과의 만남을 넓혀 준다
SECTION 12. ‘시간을 들이는 속독’도 있다
어려운 책과 탐탁지 않은 책은 ‘쌓아 두기(Book Hoarding)’부터 191
제목에서부터 고속 대량 회전을 시작한다 193
짬이 나는 시간을 활용한다 195
자신을 성장시키는 속독을 하고 있는가? 197
전자책은 속독에 적합하지 않다 199
기억에 남기 어려운 전자책의 결점 201
‘빨리 읽어서 끝내버리는 기술’로 끝나는 게 아니다 203
속독에 필요한 것 205
끝내며 207
독자의 목소리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