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부 20세기 창극 문화의 흐름
들어가며
20세기 창극의 무대와 무대 너머
20세기 매체 관련 창극 연구의 동향
논의 대상과 기술 방식
제1장 초기 전통극의 존재와 창극 용어의 등장
20세기 초 극장의 설립과 초기 전통극의 존재
‘창극’, ‘창극조’ 용어의 등장과 의미
제2장 일제강점기 창극의 존재
‘구극(구연극)’, ‘구파’로서 무대극과 조선성악연구회의 창극 정립
유성기 음반의 등장과 창극 음반의 발매
경성방송국의 개국과 라디오 창극 방송
제3장 1950~1960년대 창극의 존재
여성국극의 등장과 국립창극단의 성립
LP 도입과 음반 창극의 발매
서울 방송국의 개국과 라디오 창극 프로그램
제4장 1970~1980년대 창극의 존재
국립창극단의 창극 정립 운동
LP의 대중화와 창극 음반의 증가
텔레비전 보급의 확대와 창극 프로그램의 방송 편성
제5장 미디어의 형성과 발전으로 본 20세기 창극 문화
초기 음반·방송 창극과 무대 창극의 관계
일제강점기 음반·라디오 창극과 무대 창극의 상호성
1950~1980년대 음반·방송 창극과 무대 창극의 상호성
‘전통문화’로서 창극과 매체의 만남
나가며_ 21세기 창극과 창극의 미래
끊임없이 변화를 모색하는 21세기의 창극
창극의 정체성은 무엇인가
창극의 미래를 위한 제언
제2부 20세기 창극 작품론
제1장 20세기 창극 〈장화홍련전〉의 존재 양상과 특징적 면모
들어가며
20세기 창극 〈장화홍련전〉의 존재양상
창극본 〈장화홍련전〉의 특징적 면모
나가며
제2장 음반 창극 〈사명대사〉1971의 형식적·내용적 특징 고찰
들어가며
음반 창극 〈사명대사〉의 형식적 특징 창극을 향한 미디어의 실험
음반 창극 〈사명대사〉의 내용적 특징
나가며
제3장 창극 〈가로지기〉1979의 서사적ㆍ연행적 특징과 의미
들어가며
창극 〈가로지기〉의 서사적 특징과 의미
창극 〈가로지기〉의 연행적 특징과 의미
나가며
제4장 KBS 창극 〈이춘풍전〉1982을 통해 본 TV 창극의 매체적 특징 고찰
들어가며
시공간 변화의 자유로움으로 단편 고전소설 〈이춘풍전〉의 서사 확대
카메라 기법을 활용한 인물의 상황과 정서의 시각화
수준 높은 판소리 창의 선명한 전달
나가며
부록 1. 1970~1980년대 음반 창극 대본 〈사명대사〉, 〈장화홍련전〉
부록 2. 1960년대 창극 음반 목록
부록 3. 1970~1980년대 창극 음반 목록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