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1. 소설 같은 현실
“언론이 말을 못하면 나라가 망합니다.” 〈공범자들〉
도둑적으로 완벽한 국가 ‘원수! 〈저수지 게임〉
포용 안에서 위로하다 〈두 교황〉
객관적 시각으로 회생하는 ‘5·18’ 〈택시운전사〉
결코 따스하지 않은 봄! 〈서울의 봄〉
인권, 저항이 핵심이다 〈박열〉
그들의 ‘매뉴얼’에 칼을 대다 〈재심〉
1987, 2017년과 병치되다 〈1987〉
그들만의 프레임, 사회 구조를 파괴시키다 〈리처드 쥬얼〉
지켜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노무현입니다〉
2. 상상 그 이상의 세상
영화와 사회현상의 상관관계에 대한 단상 〈감기〉
중년의 일상을 깨우다! 〈어나더 라운드〉
문명의 발전, 사회 붕괴의 요인으로 작용 〈리브 더 월드 비하인드〉
도시의 치부를 드러낸 디스토피아! 〈콘크리트 유토피아〉
굴레를 직관한 ‘현실 자각 타임’ 〈비바리움〉
“완벽보다는 진화를 추구하자” 〈파이트 클럽〉
결이 다른 가족공동체에서 사회 구조를 바라보다 〈기생충〉
오래된 틀을 벗어나려는 언어적 몸짓! 〈언프레임드〉
3. 액션에서 가치관을 찾다
“어떤 죽음은 태산처럼 무겁고, 어떤 죽음은 새털처럼 가볍다” 〈봉오동 전투〉
액션을 위한 액션 〈존 윅 3: 파라벨륨〉
액션에 혼(魂)이 깃들다 〈리벤져〉
장르감독의 발견 〈헌트〉
‘인간(人間)’을 관철하다 〈비상선언〉
미래 한반도에 던진 메시지 〈백두산〉
한 방 액션의 ‘끝’ 〈범죄도시 2〉
세상 속 작은 세상 〈프리즌〉
4. 영화, 명화가 되다
알 카포네 콤플렉스를 깨우다 〈영웅본색〉
변화의 ‘흐름’을 좇다 〈시네마 천국〉
복선과 암시의 틀을 깨다 〈오리엔트 특급살인〉
양면성의 끝에서 새로움이 움트다 〈조커〉
캐릭터가 전체를 이루다 〈범죄도시〉
5. 감정을 파고드는
잊히면 안 되는 ‘세월(SEWOL)’ 〈생일〉
가족, 사랑과 진심의 따뜻한 공동체 〈어느 가족〉
인생의 완성을 말하다 〈인생은 아름다워〉
‘영화의 세계’ 〈바빌론〉
음식이 그 사람의 지위를 나타낸다! 〈헝거〉
전쟁 속 휴머니즘을 말하다. 〈줄무늬 파자마를 입은 소년〉
유권자, 그대 이름은 ‘국민’이다 〈특별시민〉
교감, 관계를 구분하다 〈케빈에 대하여〉
삶이 담긴 ‘아리아’ 〈파바로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