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서문
제1부 유교 문명론과 다산의 정치의식
1장 유교 공동체의 문명 지향
1. 다산의 문명론과 동인 의식
2. 중국과 동국, 문화 정체성의 경계
3. 중국과 일본 관계에서 본 조선의 위상
4. 기자설의 활용과 조선 방식의 문명론
2장 정치권력의 근거와 공 관념
1. 권력의 근거에 대한 물음
2. 「원목」과 「탕론」에 대한 고찰
3. 「일주서극은편변」: 제명과 후대
4. 상제의 선발과 군목의 과제
5. 공의 최종 근거로서 천명
3장 국가 의례와 정치의 공공성
1. 다산의 의례와 서학 문제
2. 의례에 상정된 영의 의미: 허령과 비교한 영명
3. 국가론적 유비에 기초한 천인상응론
4. 상제-귀신의 공공성과 제사 의례
4장 인륜과 효제의 공적 가치
1. 유교의 인륜, 효제
2. 친친과 존존의 배합
3. 인륜과 효제에 담긴 공적 의미
4. 효제의 명덕은 노력해야 이룰 수 있다
제2부 조선의 국가 운영론
1장 『경세유표』의 이념과 국정 운영
1. 『경세유표』 구성의 학문적 원리
2. 중앙정부 조직과 군신 관계
3. 육향제와 도성의 향례
4. 중앙과 지방의 일원적 통치 질서
5. 토지와 부세 제도의 개혁
6. 만민 교육과 신분의 재구성
2장 경세서로 본 사족의 지위와 역할
1. 양반 사족과 다산의 사족 이해
2. 국역 의무로 본 사족의 지위와 역할
3. 국정 운영과 사족의 자기 인식
4. 귀천의 명분과 사족의 정치적 위상
3장 다산의 목민관 경험과 정책의 구상
1. 목민관 다산의 문제의식
2. 지방 민원 수렴의 제도화
3. 감사의 수령 고적과 감찰
4. 지역 호구와 재정 실태 파악
5. 조세 수취 제도와 운영의 개선
6. 향촌의 인재 선발과 관리
4장 『목민심서』의 지방 운영과 향촌 질서
1. 『목민심서』로 본 지방정치의 현장
2. 지방의 정치 주체: 목민관, 향리, 소민
3. 향촌의 정치적 위계질서와 도덕성
4. 향촌 교육과 목민의 이념
제3부 예와 법, 인륜의 변주
1장 형법에 반영된 덕과 예 관념
1. 『흠흠신서』 연구사의 경향과 쟁점
2. 효제의 덕과 사회의 공적 가치
3. 형법서에 반영된 덕과 예치의 원리
4. 법은 효제를 위한 수단
2장 유교적 재판의 원칙과 규범
1. 왜 흠서인가?
2. 범죄 성립 요건: 과오살 판단과 심증
3. 복수 살인과 강상 범죄: 관형과 엄형의 관계
4. 명분과 범분: 유교적 형법의 특권과 차등성
5. 흠서의 한계와 의미
3장 『흠흠신서』의 판례로 본 여성과 가족
1. 형법서에 드러난 유학자 다산의 여성 인식
2. 강상 윤리와 다산의 열부론: 의열의 조건
3. 여성 관련 음옥에 나타난 다산의 여성관
4. 강상 범죄 속 여성 발화의 의미
맺음말
부록 1. 다산의 사상적 배경과 관련 있는 인물들
부록 2. 도식으로 보는 다산의 예치 구조 및 형이상학과 정치사상
부록 3. 다산 저술의 전체 목록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