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행사
머리말
제1부_영화에 대한 감상
제1장_《내 청춘에 후회 없다》: 전후 민주주의 신여성의 ‘자아’를 찾는 여정
1. 들어가며
2. 전통적인 여성상, 야기하라 부인과의 차이
3. 자기본위의 새로운 여성상
4. 유키에의 자아실현, 그리고 자유
5. 나오며
제2장_《멋진 일요일》: 전후의 역경 속에서도 꿈을 포기하지 않는 청춘
1. 들어가며
2. 현실과 꿈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배열한 구성
3. ‘하숙집 장면’의 구성에 대한 논쟁
4. 하숙집 장면의 연출
5. 나오며
제3장_《멋진 일요일》: 네오리얼리즘 성격과 카메라 워킹, 그리고 음악 연출
1. 들어가며
2. 네오리얼리즘적인 영화
3. 촬영기법
4. 음악
5. 나오며
제4장_《주정뱅이 천사》와 《조용한 결투》: 이성적이고 헌신적인 의사와 비이성적인 악한의 상반된 생애
1. 들어가며
2. 영화제작을 둘러싸고
3. 구성과 제재의 유사성
4. 《주정뱅이 천사》에서 《조용한 결투》로
5. 주제의 연속성으로서의 ‘이성’의 중요성
6. 나가며
제5장_《조용한 결투》: 원작 『낙태의』와의 비교를 통해 본 시나리오의 방법
1. 들어가며
2. 전반부의 구성의 비교
3. 후반부의 구성의 비교
4. 『낙태의』에서 《조용한 결투》로:메시지의 변화
5. 나오며
제6장_《들개》: 소설, 시나리오, 영화의 역동적 관계
1. 들어가며
2. 발단부
3. 전개부
4. 위기부
5. 절정ㆍ결말부
6. 나오며
제7장_《추문》: ‘옐로 저널리즘의 비판’에서 ‘인간의 선악의 문제’로
1. 들어가며
2. 제작 동기
3. 전반부의 주제와 연출
4. 후반부의 주제와 연출
5. 나오며
제8장_전후 민주주의 영화 속의 ‘전후’의 표상: 공간과 대립되는 인물조형, 그리고 감독의 메시지
1. 들어가며
2. 《내 청춘에 후회 없다》와 《멋진 일요일》의 공간
3. 《주정뱅이 천사》와 《조용한 결투》의 공간
4. 《들개》와 《추문》의 공간
5. 전후의 표상으로서의 인물조형ㆍ사회적 메시지
6. 나오며
제2부_각본에 대한 이해
《내 청춘에 후회 없다》(1946)
《멋진 일요일》(1947)
《주정뱅이 천사》(1948)
《조용한 결투》(1949)
《들개》(1949)
《들개(소설)》
《추문(스캔들)》(1950)
제3부_감독ㆍ제작에 대한 관심(1946~1950)
1. 연합군 최고사령부와 도호 쟁의
2. 《내 청춘에 후회없다》
3. 《멋진 일요일》
4. 《주정뱅이 천사》
5. 《조용한 결투》
6. 《들개》
7. 《추문》
참고문헌
초출일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