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여는 글 이름 없는 것과 정명正名의 사이에서
제1부 서론
1장 분단문학에서 제노사이드문학으로 _23
2장 무엇을 제노사이드문학이라 부를 것인가 _39
3장 제노사이드와 재현의 문제-가독성·고백·증언 _66
제2부 문학적 이행기 정의의 형성기 : 1972~1987
1장 가족의 위기와 망자의례라는 재현의 공간 _117
○ 가족이라는 표적 _117
○ 금지된 매장과 말해질 수 없는 기억 _131
○ 매장의 회복과 실패 _149
2장 ‘순경 각시’와 제노사이드의 젠더 _168
○ ‘순경 각시’와 여성의 위기 _168
○ 남성의 부재, 여성 주체의 재귀속 _181
○ 여성의 재현 공간과 제노사이드의 젠더 _193
3장 빨치산, 제노사이드와 국민의 경계 _213
○ 역사로서의 빨치산과 상상된 가족사 _213
○ 죄의식과 국민 되기 _222
○ 점령지와 해방구, 국가의 시험대 _233
제3부 민주화 이후 제도적 이행기 정의와 문학의 재현
1장 민주화 이후 기억의 범람과 재현의 정치 _249
○ 문예지 복간과 과거사 재현의 활기 _249
○ 기억의 범람과 반공주의의 퇴조에 대한 기대 _257
○ 국가로 회수될 수 없던 가능성들 _275
2장 소설과 구술사, 자전적 글쓰기의 전략 _284
○ 증언과 구술, 자기 재현의 양상들 _284
○ 재현의 공백과 확장 _295
○ ‘고백’에서 ‘증언’으로 _312
○ 훼손된 공동체와 소설가의 성장 _339
3장 제노사이드의 계보화와 해원(解冤)의 서사 _355
○ 이행기 정의와 소설형식의 변화 _355
○ 기억을 새롭게 쓰는 주체 _366
○ 괴물의 연대기와 외부화된 해원 _381
제4부 공식기억의 교체와 주체의 복권
1장 민주화가 품지 못한 것-외국과 외부, 내부와 내면 _395
○ 제도적 이행기 정의와 그 외부들 _395
○ 외국와 외부, 국가의 제도가 닿을 수 없는 자리 _400
○ 내부와 내면, 문화적 부인과 제노사이드의 심성 _413
2장 공식기억의 교체와 전도된 저항 _433
○ 신 공식기억의 등장과 역사부정론의 대두 _433
○ ‘섬의 반란’과 전도된 저항 _445
○ 탈이념적 피해자상과 우익의 소외감 _459
3장 소설의 개작과 또 다른 ‘기획자’를 복권하기 _475
○ 정본 만들기와 소설의 개작 _475
○ 제노사이드 재현의 확대와 구체화 _487
○ 좌익의 정치적 주체화와 아버지의 복권 _509
제5부 결론 _541
저자 후기 다시, 살아남은 자의 글쓰기 _544
□ 참고문헌 / 556
□ 미주 / 574
□ 색인-작가 & 작품 / 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