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우리의 시간을 재해석하는 일
1장. 미술계의 성폭력이 수면 밖으로 드러나다
1. 성폭력이 가득한 세상에서 미술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2. ‘#미술계_내_성폭력’ 운동의 ‘장소의 정치’
3. 페미니즘 미술을 정확하게 보기 위해
2장. 여기에도 안전한 장소는 없다
1. 세상을 바꾸려 했던 미술운동의 시도들
2. 여성 예술인의 자기 인식으로부터: ‘#미술계_내_성폭력’ 운동
3. 장소의 정치: 박탈된 장소로서 여성의 몸과 비장소
3장. ‘루이즈더우먼’의 페미니즘 미술
1. 정치로서 ‘네트워크’라는 장소 만들기
2. 네트워크 안에서 발생하는 페미니즘 미술
3. 안전과 책임을 어떻게 함께할 것인가
4. 신자유주의 논리 속 여성 작가의 ‘이중 부담’과 안전한 선택
4장. 결론
나가며: 함께 다음을 고민하기 위해 쓰다
부록
참고문헌
도판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