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결국 세상만사를 설명하고 싶어서
만물은 변한다(탈레스, 밀레토스학파): 철학의 시작, 자연철학, 아르케, 뮈토스와 로고스
형이상학의 아버지(헤라클레이토스, 파르메니데스): 존재, 진리와 의견, 동일성 혹은 차이
내 말이 맞다구?(소피스트들): 상대주의와 회의주의, 인본주의
이데아의 탐구자(플라톤): 이데아, 정의, 지성주의
2장 어떻게 살 것인가
좋은 삶에 대하여(아리스토텔레스): 에우다이모니아, 프로네시스, 아레테
다양한 삶의 기준(에피쿠로스학파, 스토아주의, 피론주의): 아타락시아, 아파테이아, 쾌락주의
고백하는 철학(아우구스티누스): 변증론, 주의주의
신앙과 이성(토마스 아퀴나스): 자연법
3장 내가 나인가? 너는 너인가?
항상 의심할 것(데카르트): 코기토, 심신이원론, 기계론
함께 살기 위해(홉스, 로크): 사회계약론, 자유주의
만물 속의 신(스피노자): 실체, 범신론, 정동
가능한 최선의 세계(라이프니츠): 모나드, 가능세계
합리적인 사람들(버클리, 흄): 관념론, 경험론 vs 합리론
4장 우리의 세계를 만들다
사유의 천재(칸트): 선험, 물자체, 의무론, 정언명령
절대정신이라는 세계(헤겔): 변증법, 시대정신
세계를 변화시키는 철학(마르크스): 유물론, 소외
극복하는 마음(쇼펜하우어, 니체): 의지, 표상, 초인
무엇이 좋은 것인가?(벤담, 밀) 공리주의, 질적 공리주의
5장 그럼에도 우리는 나아간다
비판의 철학(호르크하이머): 이성
타인은 지옥일까?(사르트르, 레비나스): 실존, 타자
언어와 실재의 경계에서(비트겐슈타인): 언어놀이, 가족유사성
현상이라는 세계(후설): 실증주의
실용성이 곧 진리다(제임스): 실용주의
철학은 현재 진행 중(버틀러, 가브리엘): 수행성, 실재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