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행복과 “행복”: 미소의 편지를 보내며
1_ 나 자신의 행복을 일구는 연습
삶의 축제, 누구나 행복할 권리가 있다
살아있음의 예식, 쓰기
그의 이름은 ‘가아스’
홈리스와 하우스리스의 경계에서
삶의 정원 가꾸기
조약돌의 철학
존재하는 것은 행복해야만 한다
‘FM-모드’에서의 삶의 축제
편지 쓰는 존재, 인간
나는 갈망한다, 고로 존재한다
‘한계 상황’을 마주하며
빵과 커피, 진정성의 내음
진정성 실종 시대, 인간으로 산다는 것
삶은 물음표다
2_ 관계의 정원을 가꾸는 연습
‘마음속 책상’을 꾸리는 용기
라면 한 냄비와 미소의 선물
두 종류의 나이: 몸의 나이와 정신의 나이
다가올 우정을 향한 초대장
고독은 나의 고향
‘존재의 부채’를 안고 사는 삶
좌절과 절망감, 삶의 동반자로
다양한 생명들과의 만남
존재함의 용기
왜 쓰는가: 존재 방식으로서의 쓰기와 읽기
행복을 가꾸는 시시포스
포옹, 그 몸의 언어가 상징하는 것
장미는 ‘왜’가 없다
‘함께’ 웃지 못하는 병
살아감에 대하여 배우기
3_ 동료-인간과 함께 살아가는 연습
인간이란 누구인가: 인간의 두 얼굴
그런 ‘신’은 없다
발화 주체는 누구인가
버팀의 철학
‘시대의 스승’이란 없다, 동료-인간이 있을 뿐
무엇이 나를 행복하게 하는가
내가 춤출 수 없다면
우리는 ‘생존 기계’가 아니다
나는 희망한다, 고로 존재한다
“잊지 않겠습니다”, 기억의 정치학
나의 ‘재산’은 무엇인가
우리 모두는 ‘생존자’다
의미로운 삶의 조건, 치열성과 자유
보다 나은 세상을 위해서: 홀로-함께
내가 만드는 선택들이 바로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