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글
1장 들어가며
왜 중학교 시기의 진로와 학습이 중요한가?
2장 중학교에서 시작하는 진로 탐색
2.1. 중학교의 진로 탐색 필요성과 실태 가. 진로 탐색의 중요성
나. 진로 탐색 부족 시 문제점
2.2. 중학교의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진로활동 영역
가. 교과 활동과 연계한 진로 탐색
나.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한 진로 탐색 2.3. 자유 학기와 연계한 진로 탐색
가. 주제 선택
나. 진로 탐색
2.4. 중학교 3학년 말 전환기의 진로 연계
가. 우리나라의 전환기 진로 연계 교육활동
나. 외국의 전환기 진로 연계 교육활동
다. 우리나라 전환기 진로 연계 교육활동의 방향
3장 고교학점제를 대비하는 중학교 학습
3.1. 고교학점제의 도입 배경 및 목적
가. 다양한 진로와 적성에 맞춘 맞춤형 학습
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인재 양성
3.2. 고교학점제 대비를 위한 중학교 준비
가. 고교학점제 대비를 위한 진로 및 학습 설계 전략
나. 중학교,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이해
3.3. 고등학교 준비를 위한 효과적인 학습 방법
가. 무엇을 선택해야 하나?
나. 중학교에서 고등학교 진학 선택
다. 고등학교 입학전형 이해하기
3.4. 교과목 선택과 진로 연계 전략
가. 내신성적 등급 및 수능 체제 변경
나. 등급과 전공 적합성에 유리한 과목 선택
다. 학교생활기록부 반영
4장 학교자율시간과 진로 탐색
4.1. 학교자율시간 도입과 취지
가. 학교자율시간 도입 배경과 필요성
나. 학교자율시간을 통한 맞춤형 교육 지원
4.2. 학교자율시간과 진로 탐색의 연계
가. 학교자율시간을 활용한 진로 탐색 프로그램 운영
나. 진로 교육 강화를 위한 학교자율시간의 사례
4.3. 학교자율시간의 인식 및 지원방안
가. 학교자율시간 인식조사 분석
나. 학교자율시간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
4.4. 학교자율시간의 교육과정 사례 및 효과적인 운영 방법
가. 성공적인 학교자율시간 운영 사례 분석
나. 학교자율시간의 효과적인 운영 전략
5장 진로와 학습을 위한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의 역할
5.1. 진로와 학습 지원을 위한 교사의 역할
가. 학생 맞춤형 통합 지원
나. 전문적 학습공동체로 교사 수업 나눔·연구 역량 강화
다. 교실 밖 성장의 길 지원
5.2. 진로와 학습 지원을 위한 학부모의 역할
가. 학생 성장을 위한 학부모와 학교의 협력
나. 디지털 환경에서 학습 지원을 위한 학부모의 역할
다. 학습 환경 및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학부모의 참여
5.3. 교육공동체 협력을 통한 진로 교육 방안
가. 자녀의 꿈을 함께 그려가는 교육공동체의 역할
나. 꿈을 향한 교육공동체의 발걸음
다. 함께 꿈을 키우는 따뜻한 여정, 교육복지 우선지원사업
5.4. 학교와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진로 교육
가. 학교와 지역사회, 아이들을 위한 동행
나. 학교와 지역사회, 함께 만들어가는 진로의 길
다. 꿈을 향한 체험활동의 여정, 지역사회와 함께 걷다
6장 지속 가능한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
6.1. 학교 교육환경 개선과 진로 탐색의 연계 방안
가. 디지털 세상의 탐험가로 성장하다
나. 숲, 꿈이 자라는 학교의 배움터
6.2. 학생 성장을 촉진하는 평가 방법
가. 과정 중심 평가, 성장의 나침반
나.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피드백의 여정
6.3. 미래를 대비하는 교육의 방향과 전략
가. 융합 교육, 함께 빚어가는 배움의 새로운 길
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새로운 세상으로의 초대
6.4. 미래 교육을 위한 정책 지원과 학교 현장의 실천
가. 교육자원의 확대로 열리는 새로운 배움의 가능성
나. 학교와 지역사회의 공존, 함께 자라는 미래
7장 마치며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에서 중요한 요소는 무엇일까?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