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프롤로그
제1부 유가와 도가는 인간을 어떻게 보는가?
1. 공자의 인간 이해
춘추시대와 인간 이해
공자 사상의 형성과 천자
정명사상과 수기치인
2. 맹자의 인간 이해
맹자의 성선설
사단의 발현과 선악
왕도정치와 인간의 존엄
3. 노자의 인간 이해
무위자연의 도와 음양
인간의 욕망과 문화의 최소화
영아(嬰兒)와 적자(赤子)
4. 장자의 인간 이해
인간과 우주
부정적 인간
긍정적 인간
초탈적 인간
제2부 유가와 도가는 성인을 어떻게 보는가?
1. 공자의 성인관
정명(正名)과 인치(仁治)
성인에 이르는 길
2. 맹자의 성인관
인의예지의 성인관
맹자와 인격 완성의 길
왕도정치와 성인
3. 노자의 성인관
무위자연의 성인
성인과 허(虛)
성인과 정치
4. 장자의 성인 실현 방법
허정(虛靜)의 양생
득도(得道)의 인가
소요유(逍遙遊)의 삶
제물(齊物)과 달관
천인합일(天人合一)
무위(無爲)와 도락(道樂)
제3부 장자가 본 이상적 인간상은 무엇인가?
1. 지인(至人)
지인의 수행과 역할
지인의 특징
2. 진인(眞人)
진인의 수행과 역할
진인의 특징
3. 대인(大人)
대인의 수행과 역할
대인의 특징
4. 신인(神人)
신인의 수행과 역할
신인의 특징
5. 성인(聖人)
성인의 수행과 역할
성인의 특징
6. 전인(全人)·덕인(德人)·천인(天人)
전인
덕인
천인
7. 기인(畸人)
장자가 인식한 ‘기인’
‘기인’의 유형
제4부 난세를 극복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1. 허기(虛己)
2. 무용지용(無用之用)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