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잘했다”는 말이 아이의 의욕을 꺾는 이유
PART 1 아이를 격려한다고 믿었던 칭찬의 덫
01 칭찬에 대한 부모의 믿음은 틀렸다
스스로 실패를 창조하는 아이
무조건적인 칭찬이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
시험이 다가오면 왜 일부러 공부를 하지 않을까
02 칭찬할 때와 혼낼 때를 정확히 파악하라
칭찬의 힘을 믿는 미국, 꾸중의 힘을 믿던 한국
칭찬과 꾸중, 어느 쪽이 더 성적을 향상시킬까
칭찬과 꾸중을 들은 아이 중 누가 더 열심히 노력할까
과도한 칭찬에 안주하고, 과도한 꾸중에 포기한다
칭찬을 많이 하면 아이가 행복할까
03 아이를 ‘잘 혼내는 기술’이 필요하다
아이를 성장시키는 꾸중의 조건
꾸중하면 관계가 불편해지지 않을까
꾸중하기 전에 칭찬 먼저 하는 실수를 하지 말라
듣지 않는 아이에게도 계속 말해야 하는 이유
PART 2 너무 긍정적이지도, 부정적이지도 않은 자기 객관화의 힘
01 긍정의 시대를 살고 있는 아이들
항상 시험을 잘 봤다는 아이와 못 봤다는 아이
너무 긍정적이어도, 너무 부정적이어도 공부를 못한다
메타인지를 잘하는 아이가 공부도 잘한다
긍정적인 태도보다 부정적인 태도가 더 좋다고?
02 ‘할 수 있다!’는 말에 가려진 아이의 자존감
긍정적인 아이가 멘탈도 좋다는 생각은 착각이다
자신을 그대로 비추는 ‘투명 안경’이 필요하다
‘걱정하지 말라’는 말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PART 3 아이를 성장시키는 올바른 보상의 기술
01 잘하면 상을 준다는 교육 원칙의 재해석
보상은 아이의 즐거움을 빼앗는다
숙제 먼저 끝내면 놀게 해준다는 말의 함정
게임이 대학입시 과목이면 즐겁게 공부할까
02 좋아서 하는 일의 본질을 흐리지 말라
좋아하는 일 vs 잘하는 일, 아이의 진로 선택 기준
자의를 타의로 만드는 보상의 맹점
주었다가 다시 빼앗는 것보다 나쁜 건 없다
보상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단 2가지 방법
03 아이를 자립하게 만드는 힘
엄마의 칭찬이 아이의 의욕을 떨어트린다
왜 우리 아이는 ‘아니요’라는 말을 하지 못할까
아이의 인생을 결정하는 자율성의 힘
스스로 결정하는 아이로 키우는 방법
맺음말 성취동기를 끌어올리는 칭찬ㆍ긍정ㆍ보상의 3가지 훈육 원칙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