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에피소드 1, 2, 3
추천의 글
Ⅰ. 서론
1. 연구 목적 .............................................................. 25
2. 연구사 검토 ........................................................... 35
3. 연구 방법 .............................................................. 57
II. 저항적 사유 방식에 의한 생성 공간
1. 저항적 콜라주 : 차학경의 「딕테」 ............................... 77
1) 침묵과 결여의 해체적 글쓰기 ................................ 83
2) 지배 언어의 억압에 대응하는 파편화의 공간 ............ 99
2. 저항적 해체방식
: 캐시 박 홍의 「마이너 필링스」와 「댄스 댄스 레볼루션」
1) 지배 언어의 공모를 전복시키는 저항적 발화 ........... 118
2) 기형의 언어가 생성하는 사막 도시 ........................ 131
III. 동조적 사유 방식에 의한 생성 공간
1. 진화하는 유동성으로서의 되어가는 것
: 이창래의 「척하는 삶」 .......................................... 155
1) 지배 문화 흉내 내기로서의 동조적 사유 ................. 156
2) 유동적 이행의 혼종 공간 .................................... 178
2. 동조적 그로테스크의 탈영토화
: 제인 정 트렌카의 「피의 언어」 ............................... 189
1) 입양인 작가의 자서전적 글쓰기와 탈영토화 ............ 191
2) 변신의 욕망과 불협화음의 그로테스크적 공간 ......... 202
IV. 신세대 디아스포라 문학의 지형
1. 신세대 미주 디아스포라 작품들 ............................... 222
1) 창조적 생명 공간 : 김주혜의 「작은 땅의 야수들」 .... 223
2) 패러디의 생성 공간
: 태 켈러의 「호랑이를 덫에 가두면」 ..................... 234
2. 신세대 유럽 디아스포라 작품들 ............................... 245
1) 전략적 반복이 생성하는 탐색의 공간
: 마야 리 랑그바드의 「그 여자는 화가 난다」 ............. 247
2) 자가치유를 위한 몽환적 이행 공간
: 쉰네 순 뢰에스의 「아침으로 꽃다발 먹기」 ............. 260
Ⅴ. 결 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