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사의 말 7
자주 인용된 저작들 10
서론 17
1. 주제적 초점 17
2. “Ereignis”의 번역 35
3. 제1장에서 제6장까지의 개관 39
4. 시적(혹은 제작적) 언어와 예술에 대한 물음 52
제1장 하이데거의 사건 존재론의 방법론적 근거 59
1. 문제들 61
2. 방법론적 원리들 69
3. 하이데거의 생산적 논리 85
4. 해법들 102
5. 결론 117
제2장 “사건”의 역사적 의미와 존재론적 의미 및 그것들의 관계 119
1. “사건”의 역사적 의미 126
2. “사건”의 존재론적 의미 133
3. 철저한 비판의 기준 141
4. “사건”의 두 의미 사이의 방법론적·존재론적 관계 144
5. 『존재와 시간』에서 논하는 기초 존재론을 위한 기초/근거 작업 148
6. 『존재와 시간』에서 논하는 역사 존재론 162
7. 『기여』에서 논하는, 근거로부터의 현존재의 역사적 소외 173
8. 『기여』에서 논하는 근거를 측심하기와 “사건”의 역사적 의미 190
9. 결론 202
제3장 현존재 및 진리에 대한 예비 물음 207
1. 『존재와 시간』에서 논하는 진리와 현존재 215
2. 「진리의 본질에 관하여」에서 논하는 진리와 현존재 230
제4장 『철학에의 기여』(사건에 대하여)에서 논하는 진리와 사건 263
1. 존재자성의 문제 및 존재에서 존재로 향하는 전환 266
2. 주도 물음에서 근본 물음으로 향하는 전환 277
3. 사건 및 진리의 본질 284
4. “사건”에 대한 상관관계주의적 해석(쉬한과 메이야수) 299
5. “사건”은 현존함, 알레테이아, 퓌시스, 혹은 주어진 것을 줌과 동등하다고 보는 입장(카포비안코) 310
제5장 차이, 진리, 사건 321
1. 하이데거의 차이 존재론 323
2. 하이데거의 차이적 진리 개념 334
3. 하이데거의 차이적 사건 개념 348
4. 사건의 구조 안에 있는 왜곡의 발생: 진리의 왜곡된 본질 362
제6장 사건, 근거, 시간-공간 373
1. 사건과 근거 375
2. 사건과 시간-공간 396
결론 419
참고문헌 427
옮긴이 후기 437
색인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