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생각하는 것을 생각하기
생각하는 갈대 / 물질적 풍요 안에서 살기 어려움 / 평범한 사람의 각성 / 행복과 욕망의 관계 / 다른 방식으 로 생각하기 / 현대사상이란 무엇인가? / 근대를 넘어서
제1장 / 마르크스 - 현대사상의 원류 Ⅰ
세계를 변혁한다는 것 / 인간관에 대한 쇄신 - 인간은 사회적 모든 관계의 총체 / 유물사관 - ‘인류의 역사 는 계급투쟁의 역사이다’ / 계급의 형성과 고정화 - 잉여가치와 착취 / 전쟁의 극복과 사회주의혁명 / 거대 한 실험이었던 사회주의
제2장 / 니체 - 현대사상의 원류 II
그리스도교 도덕과 르상티망 / ‘신은 죽었다’ / 힘을 향한 의지 / 초인의 사상 / 영원회귀의 사상 - 생의 충 만함을 위하여 / 권력비판자로서 니체
제3장 / 프로이트 - 현대사상의 원류 III
무의식의 발견 / 억압과 자유연상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꿈 / 성과 리비도 / 두 가지 심적 위상론: ▶ 제1 위상학에서 제2위상학으로 ▶ 에스(Es) ▶ 성욕의 발전과정 ▶ 초자아 ▶ 자아
제4장 / 라캉 - 불안의 메커니즘
프로이트로의 회귀 / 무의식에 대한 이론 / 거울단계 ▶ 신체란 신체의 이미지이고, 자아란 자기신체에 대한 이미지이다 ▶ 자아는 본래부터 소외되어 있다 ▶ 자아는 파라노이아적이다 ▶ 자아이상과 이상자아 / 오이 디푸스 콤플렉스 ▶ 요구ㆍ욕구ㆍ욕망 ▶ 상상적 팔루스와 상징적 팔루스 ▶ 상징계의 무의미성, 시니피앙의 연쇄 / 향락과 대상 ɑ ▶ 욕동, 향락, 대상 ɑ ▶ 불안
제5장 / 알튀세 - 이데올로기를 넘어서기 위하여
두 개의 마르크스주의 / 인식론적 절단 / ‘읽기’라는 문제 / 국가 이데올로기 장치들 ▶ 법과 억압장치 ▶ 국 가 이데올로기 장치 ▶ 억압장치와 이데올로기 제장치의 상호보완관계 ▶ 중층적 결정 ▶ 이데올로기
제6장 / 푸코 - 우리는 어떤 사람인가 ?
우리는 어떤 사람인가 ? / 심리학과 정신의학의 ‘유사과학성’ / 광기의 역사 / 임상의학의 탄생 / ‘인간’의 종 언 / 계보학 / 권력론의 전환 / 생 권력 / ‘인종’이라는 원리
제7장 / 네그리와 하트 - 현대사상에 대한 최근의 전개
‘제국’이라는 세계질서 / 세계화된 내전의 시대 / 비물질적 노동의 성격 / 다중과 공통적인 것
후기
역자 후기